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8_lexicology:82_wform:wform_deriv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 접사를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친족어 접두사

예: a⁴⁴

baic1239 zhaoyanzhen2012:30
  • a⁴⁴ma⁴⁴ 엄마
  • a⁴⁴ʑɛ⁴⁴: 아빠

2) 지소 접미사

지소 접미사의 유래
  • 지소사tsi⁴⁴는 명사 tsi⁴⁴ ‘아들’에서 유래한 것이다.
  • tsi⁴⁴ ‘아들’은 단어 형성에 참여하지만 생산성이 높지 않다.
  • 이때 tsi⁴⁴는 지소접미사는 아니라 작고 귀엽다는 의미만 나타낸다.
baic1239 zhaoyanzhen2012:30
  • nv³³la⁴⁴tsi⁴⁴: 아가씨
  • xɯ³³tsi⁴⁴: 자두
  • kʰu³³ma²¹tsi⁴⁴: 솜털
tsi⁴⁴가 자소사로 쓰이는 경우
  • 지소사는 관계가 가깝거나 물건의 사이즈가 매우 작거나 귀엽다는 등 화자의 주관적인 감정을 나타낸다.
baic1239 zhaoyanzhen2012:30
  • ɕɛ⁵⁵: 별 + tsi⁴⁴:DIM → ɕɛ⁵⁵tsi⁴⁴: 별
  • o⁴²la³⁵: 아이 + tsi⁴⁴:DIM → o⁴²la³⁵tsi⁴⁴: 아기
  • sɯ⁴⁴tɯ²¹:손가락 + tsi⁴⁴:DIM → sɯ⁴⁴tɯ²¹tsi⁴⁴: 손가락
지소사의 출현 환경
지소 접미사 tsi⁴⁴가 수량구 뒤에 붙어 물건이 작거나 수식을 받는 명사의 양이 적음을 나타냄.
baic1239 zhaoyanzhen2012:31
a⁴⁴tɯ²¹tsi⁴⁴
oneCLDIM
작은 ~한 마리
baic1239 zhaoyanzhen2012:31
a⁴⁴tɕʰɯ⁵⁵tsi⁴⁴.
oneCLDIM
잠깐 동안
지소 접미사 tsi⁴⁴는 형용사 se³³ ‘작다’와 함께 쓰여 명사를 구성할 수 있음.
baic1239 zhaoyanzhen2012:31
se³³ki³⁵tsi⁴⁴tɯ²¹
threechickenDIMCL
병아리
지소 접미사 tsi⁴⁴는 양사구 뒤에 쓰여 ‘모두’의 개념을 나타냄.
baic1239 zhaoyanzhen2012:31
sa⁵⁵xɔ³³tsi⁴⁴
threehomeDIM
세 집 (모두)

3) 지대(指大) 접미사 mɔ³³

mɔ³³의 의미

‘어머니’의 뜻을 가진 명사가 동물 혹은 도구 명사 뒤에서 지대 접미사로 쓰일 수 있다.

baic1239 zhaoyanzhen2012:31
si³³si³³mɔ³³
locustDIM
큰 메두기

4) 범칭 접미사

명사와 명사구 혹은 술어+목적어 구조 뒤에 범칭접미사 a⁴⁴를 붙여 범칭 명사를 형성할 수 있다.

baic1239 zhaoyanzhen2012:31
tsɯ³³a⁴⁴
treeGENR
나무
baic1239 zhaoyanzhen2012:31
ɕua⁴⁴pɛ⁴²a⁴⁴
speakbai.languageGENR
바이어를 말하는 사람

5) 자오좡바이어 중 개체 양사가 접사로 쓰여 단어를 형성할 수 있다.

baic1239 zhaoyanzhen2012:32
  • mi⁴⁴pʰi³³:태양 + pʰi³³:CL → mi⁴⁴pʰi³³pʰi³³:태양
  • si³⁵:책+ tɕʰuɛ⁴⁴:CL권 → si³⁵ tɕʰuɛ⁴⁴:책
  • kɯ²¹:팔다 + pʰiɔ³³:천 + ȵi²¹:CL → kɯ²¹pʰiɔ³³ȵi²¹:천을 파는 사람
doc/bai/8_lexicology/82_wform/wform_deriv.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8 13:06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