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baima:1_phonology:11_cons:11_cons

11_cons : 자음 (consonant)

(1) 자음

  • 바이마어의 자음(단자음)은 총 40개이다.
bilabial stop p p_h b
bilabial nasal m
labiodental non-sibilant fricative f
alveolar sibilant affricate ts ts_h dz
alveolar sibilant fricative s s_h z
alveolar stop t t_h d
alveolar lateral approximant l r
alveolar nasal n
retroflex sibilant affricate tʂ_h
palato-alveolar sibilant affricate tS tS_h dZ
palato-alveolar sibilant fricative S S_h Z
alveolo-palatal sibilant affricate ʨ ʨ_h
alveolo-palatal nasal ȵ
alveolo-palatal fricative s\ s\_h z\
velar stop k k_h g
velar nasal N
velar non-sibilant fricative x G
glottal fricative h\

(2) 자음의 특징

  • 순치음 ‘f’는 주로 중국어 차용어에 쓰인다.
  • 권설 파찰음 ‘tʂ, tʂh, dʐ’ 등이 폐쇄의 정도가 강하여 ‘ʈ, ʈʰ, ɖ’ 등으로 발음된다.
  •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 앞에 후두폐쇄음 ‘?’이 첨가된다. ‘A13ie13(나쁘다)’의 실제 발음은 ‘?A13ie13’이다.

(3) 자음군

  • 바이마어의 자음군은 유성 폐쇄음과 유성 파찰음이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과 같이 이루어진 것이다.
  • 자음군은 7개가 있다. mb, nd, Ng, ndz, ndz`, ndZ, ndʑ.
  • 자음군의 결합 방식은 단일하여 주로 유성음과 유성음이 결합한다.
  •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만이 같은 조음 위치의 폐쇄음, 파찰음과 결합한다.
doc/baima/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