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ma:2_wordclass:22_noun:22_noun

22_noun : 명사 (noun)

  • 바이마어의 명사에는 일반명사, 방위명사, 시간명사, 전문명사 등이 있는데 이들이 문장에서의 기능이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발음 의미
일반명사 mø35pA53 구름
방위명사 ʃ_hA13ɕyE53 동쪽
시간명사 tɐ13rɐ35 오늘
전문명사 pe13ʨi~53 베이징

(1) 명사의 수

  • 일반명사에는 단수, 쌍수, 복수의 문법 범주가 있다. 단수에는 표지가 없지만 쌍수와 복수는 명사 뒤에 조사를 붙임으로써 드러낸다.

① 쌍수(雙數)

  • 명사 뒤에 조사 ‘te35’를 붙인다.
  • te35’는 보통 유정 명사 뒤에 오고 실제 구어에서는 ‘쌍(雙, 對)’, ‘양(둘, 倆)’의 의미를 가진다.

ʃo35 자매 + te35ʃo35te35 자매 둘이

ȵA35ȵø53 아이 + te35ȵA35ȵø53te35 아이 둘이

dʐø35mbo53 손님 + te35dʐø35mbo53te35 손님 둘이

  • 구어에서는 ‘te35’처럼 쌍수를 나타내는 조사 ‘le35’, ‘nde35’도 있는데 이들의 사용 범위가 넓지 않다.

② 복수(複數)

  • 명사 뒤에 조사 ‘to13ko53’를 붙인다. 이 조사는 중국어에서 ‘-들’의 의미를 가진 ‘們’과 비슷한지만 쓰임이 더 넓다.
  •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나 동물을 지칭하는 명사 뒤에 올 수 있다.

lA13pe35 선생 + to13ko53lA13pe35to13ko53 선생들

pe53ʑA341 남동생 + to13ko53pe53ʑA341to13ko53 남동생들

ʨ_hi53 강아지 + to13ko53ʨ_hi53to13ko53 강아지들

  • to13ko53’는 복수를 나타내는 ‘Ne35ko53(우리들)’, ‘ʨ_ho13ko53(너희들)’, ‘k_hA13ko53(저들)’의 ‘ko53’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복수를 나타내는 조사도 가산의 동물 명사 뒤에 올 수 있고 동물 명사가 아닌 명사 뒤에는 올 수 없다.
  • 명사가 수사나 분류사구의 수식을 받을 때 수를 나타내는 조사를 붙일 필요가 없다.
  • 쌍수와 복수는 나타내는 조사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 표지가 없는 명사는 단수 명사가 아닐 수도 있다.

(2) 명사의 문법 특징

  • 명사는 지소의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부 동물 명사 뒤에 ‘ʒo35’, ‘ɕi13tʂu53’를 붙임으로써 동물이 작고 귀엽다는 것을 나타낸다.
  • ʒo35’는 ‘ru341’로 변화할 수도 있다.
  • ʒo35’를 붙일 때 어근과 ‘ʒo35’ 사이에 받쳐 주는 음(衬音)을 삽입해야 한다. 이 음은 어근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A53 말 + ʒo35tA53ti13ʒo35 작은 망아지

A13li53 고양이 + ʒo35A13li53li13ru341 작은 고양이

tɔ13 호랑이 + ʒo35tɔ13zɿ53tɔ13ʒo35 작은 호랑이

  • ʒo35’를 붙인 동물 명사 중에 ‘ɕi13tʂu53’이 ‘ʒo35’와 바꿔 쓰일 수 있다.

tA53 말 → tA53ɕi13tʂu53 작은 망아지

tɐ13NGA53 판다 → tɐ13NGA53ɕi13tʂu53 작은 판다

  • ʒo35’나 ‘ru53’를 붙인 소수 동물 명사에 중간에 받쳐 주는 음을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ʨ_hi53 강아지 → ʨ_hi53ʒo35 작은 강아지

tʂe35 노새 → tʂe35ru53 작은 노새

doc/baima/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