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ma:2_wordclass:27_num:27_num

27_num : 수사 (numeral)

  • 바이마어의 수사는 기수사(基數詞), 서수사(序數詞), 배수(倍數), 분수(分數), 어림수(約數) 등이 있다.

(1) 기수사

  • 자수 쓰이는 기수사는 다음 표와 같다.
tʃɿ53 하나 / 일 ȵi341 둘 / 이 so53 셋 / 삼
ʒə341 넷 / 사 ŋɑ341 다섯 / 오 tʂu53 여섯 / 육
de13 일곱 / 칠 dʑe341 여덟 / 팔 go35 아홉 / 구
tʃɑ53mbɑ53 열 / 십 dʑɑ341 to35tsɿ53
tʂ_hɿ13tsɿ

① 바이마어의 수사 ‘하나/일’은 ‘tʃɿ53, tʃo13te35, ʃɿ13, ko53, ɦɔ35’ 등 다섯 가지가 있고 각각의 쓰임이 다르다.

  • tʃɿ53’는 티베트어지에 관련 언어 중의 ‘하나’와 같은 어원을 갖고 있고 이는 바이마어에서 가장 널리 쓰인다.
  • ʃɿ13’는 보통 ‘백’ 뒤에 쓰이는데, 이는 ‘tʃɿ53’의 변이음인지 아직 명확히 판단할 수 없다.
  • ko53, ɦɔ35’는 보통 분류사 뒤에 쓰인다.

k_ha53 입 + ko53 하나 ⇒ k_ha53ko53 한 모금 (물)

dʑɑ341 근 + ɦɔ35 하나 ⇒ dʑɑ341ɦɔ35 한 근 (기름)

② ‘둘/이’를 나타내는 수사는 ‘ȵi341’ 외에 ‘te53’도 있다. ‘te53’는 동물 명사 뒤에 쓰여 쌍수는 나타내기로 하고 숫자 ‘둘/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ka13ʑi341te53 두 그릇

③ 십 이상의 두 자릿수 혹은 세 자릿수를 합성할 때 발음에 변화가 있다.

  • 십이부터 구백까지의 수사를 합성할 때 성조, 모음에 변화가 일어난다.
tʃo13tʃɿ53 십이 tʃu35ʒə53 십사 tʃo13de341 십칠 tʃo13go341 십구
ȵe53ʃo53 이십 ʒə53tʃo53 사십 de13ndʒo53 칠십 go13tʃo53 구십
ȵidʑɑ341 이백 ʒə13dʑɑ341 사백 de13dʑɑ341 칠백 go13dʑɑ341 구백
  • 한 자릿수 수사가 ‘백’과 결합할 때 앞에 있지만 ‘일백’에서는 ‘백’이 앞에 있다.

dʑɑ341 백 + ʃɿ13 일 ⇒ dʑɑ341ʃɿ13 일백

④ 한 자릿수 수사가 ‘천’, ‘만’과 결합할 때 뒤에 있고 중간에 받쳐주는 음 ‘tsɿ53’를 삽입한다.

to35tsɿ53 / to35tsɿ53tʃɿ53 천, 일천 to35tsɿ53ʒə341 사천 to35tsɿ53go35 구천
tʂ_hɿ13tsɿ53 / tʂ_hɿ13tsɿ53tʃɿ53 만, 일만 tʂ_hɿ13tsɿ53ʒə341 사만 tʂ_hɿ13tsɿ53go35 구만

⑤ 두 자릿수가 한 자릿수와 결합할 때 중간에 받쳐주는 음 ‘tsɑ13’를 삽입한다.

ȵe53ʃo53tsɑ13tʃɿ53 이십이

s_ho13ndʒo53tsɑ13de13 삼십칠

dʑɑ13tʃo53tsɑ13ʒə341 팔십사

⑥ 백 이상의 수와 한 자릿수와 결합할 때 중간에 접속사 ‘re13’로 연결시킨다.

ȵi13dʑɑ341 이백 + re13 + tʃɿ53 일 ⇒ ȵi13dʑɑ341re13tʃɿ53 이백 이

to35tsɿ53 천 + de13 칠 + re13 + dʑɑ341 백 + ʃɿ13 일 ⇒ to35tsɿ53de13re13dʑɑ341ʃɿ13 칠천 일백

tʂ_hɿ13tsɿ53 만 + go35 구 + re13 + to35tsɿ53 천 + tʂu53 육 + re13 + s_ho13 삼 + dʑɑ341 백 + re13 + dʑɑ13 팔 + tʃo53 십 + re13 + ŋɑ341 오 ⇒ tʂ_hɿ13tsɿ53go35re13 to35tsɿ53tʂu53re13 s_ho13dʑɑ341re13 dʑɑ13tʃo53re13 ŋɑ341 구만 육천 삼백 팔십오

⑦ 바이마 구어에서 만 이상의 수사는 거의 중국어 차용어를 쓰고 있다.

(2) 서수사

  • 서수사는 한 자릿수 뒤에 ‘nɑ13kɛ53’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보통 합성수사 뒤에 ‘nɑ13kɛ53’가 결합되지 않는다.

tʃɿ53nɑ13kɛ53 제일

ŋɑ341nɑ13kɛ53 제오

de13nɑ13kɛ53 제칠

go35nɑ13kɛ53 제구

  • 두 자릿수 이상의 수사도 ‘nɑ13kɛ53’과 결합하지 않고 구어에서는 중국어 차용어를 씀으로써 서수사를 나타낸다.

ti13ie13 제일

ti13sɿ13wu53 제 십오

tiyi13pe13 제 일백

  • 날짜를 나타내는 서수사는 수사 앞에 ‘ts_hɛ53’가 결합된다.

ts_hɛ53tʃɿ53 초하루

ts_hɛ53ŋɑ341 초닷샛날

ts_hɛ53go35 초아흐렛날

(3) 배수

  • 배수는 수사 뒤에 ‘lɛ35’가 결합됨으로써 나타낸다. ‘lɛ35’는 원래 ‘몫, 배당’을 의미한다.

tʃɿ53lɛ35 한 배

tʃɑ53mbɑ53lɛ35 열 배

to35tsɿ53tʃɿ53lɛ35 천 배

(4) 분수

  • 분수는 ‘xxlɛ35nɔ53xxlɛ35’의 방식으로 구성된다. ‘lɛ35’는 배수의 ‘몫’을 나타내고 ‘nɔ53’는 조사이다.

tʃɑ53mbɑ35 십 + lɛ35 + nɔ53 + tʃɿ53 일 + lɛ35tʃɑ53mbɑ35lɛ35nɔ53tʃɿ53lɛ35 십분의 일

dʑɑ341 백 + lɛ35 + nɔ53 + tʃo13ȵi35 십이 + lɛ35dʑɑ341lɛ35nɔ53tʃo13ȵi35lɛ35 백분의 이십

  • 수사가 이 음절 단어일 때 ‘몫’을 나타내는 ‘lɛ35’를 생략할 수 있다.

to35tsɿ53 천 + nɔ53 + ʒə13tʃo53 사십 ⇒ to35tsɿ53nɔ53ʒə13tʃo53 천분의 사십

(5) 어림수

  • 어림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정수 뒤에 ‘re53ȵɑ35’(-여, -남짓)가 결합된다.

tʃɑ53mbɑ53 십 + re53ȵɑ35tʃɑ53mbɑ53re53ȵɑ35 십여 개, 여남은

dʑɑ341 백 + re53ȵɑ35dʑɑ341re53ȵɑ35 백여 개

② 정수 수사 뒤에 ‘tʃ_hɑ13ʒɿ53’(몇)가 결합된다. 중간에 받쳐주는 음 ‘tsa53’를 삽입한다.

ȵe53ʃo53 이십 + tsa53 + tʃ_hɑ13ʒɿ53 몇 ⇒ ȵe53ʃo53tsa53tʃ_hɑ13ʒɿ53 이십 몇 개

tʂu35dʑ53 육백 + (re13) + tsa53 + tʃ_hɑ13ʒɿ53 몇 ⇒ tʂu35dʑ53(re13)tsa53tʃ_hɑ13ʒɿ53 육백 몇 개

③ 인접한 두 수사로 어림수를 나타낸다.

ȵe53 사람 + ŋgɐ53 개 + de13 일곱 + dʑe341 여덟 ⇒ ȵe53ŋgɐ53de13dʑe341 사람 일여덟 명

no35 소 + ŋgɐ53 개 + ŋɑ341 다섯 + tʂu53 여섯 ⇒ no35ŋgɐ53ŋɑ341tʂu53 소 대여섯 마리

  • 수사가 문장에서 관형어 기능을 하여 가산명사의 양을 나타낼 때 분류사와결합하지 않아도 된다.

ȵe53 사람 + ŋɑ341 다섯 ⇒ ȵe53ŋɑ341 사람 다섯 명

tɑ53 말 + dʑe341 여덟 ⇒ tɑ53dʑe341 말 여덟 마리

(6) 수사의 중첩

  • 수사를 중첩하면 ‘-마다’(每), ‘-씩’의 뜻을 나타낸다.
baim1244 sunhongkai2007:67
tɐ13rɐ35dʑɑ13rɑ53nɛ53ȵe53ŋgɐ53tʃɿ53sɔ13ka13ʑi341so53so53re13.
todaylunchPTCLpeopleCLonericeCLthree.threeCOP
오늘 점심은 한 사람당 밥 세 그릇이다.
baim1244 sunhongkai2007:67
zɑ13mbɑ53ɑ13ie53re13,ȵe53ŋgɐ53tʃɿ53tʃɿ53ndʑi53.
bridgecollapseCOPpeopleCLoneonewalk
다리가 붕괴할 것 같으니까 사람이 한 명씩 한 명씩 건어가야 된다.
doc/baima/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