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bashkir
»
4_ss
»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추적:
•
B_biblio : 참고문헌 (bibliography)
•
51_neg : 부정 (negation)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
51_neg : 부정 (negation) 100%
•
51_neg : 부정 (negation) :
•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bashkir:4_ss:44_stype:44_stype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문장은 단문과 복문으로 나뉘며, 주요문장성문과 이차적 문장성분으로 나뉜다.
주요문장성문은 주어와 서술어이다.
주어로는 모든품사가 올수 있다.
서술어는 동사, 복합동사 등이 올 수 있다. (다른품사도 가능)
2차적 성분으로는 정어, 보어, 상황어가 있다.
정어로는 형용사, 수사, 분사(형동사), 대명사, 속격 명사가 올 수 있다.
직접보어로는 명사 주격, 대격이 사용된다.
직접보어 격은 명확성과 비명확성으로 나뉜다.
bash1264
Galyautdinov2001
:177
ул
китап
уҡый
he
book.NOM
read.3SG.PRS
그는 책을 읽는다.
bash1264
Galyautdinov2001
:177
ул
китапты
уҡый
he
book.ACC
read.3SG.PRS
그는 책을 읽는다.
주격로 목적어를 나타낼때는 비명확성으로 ‘그가 어떠한 책을 (any book) 읽는다.’ 는 의미가 된다.
대격으로 목적어를 나타낼 때는 명확성으로 ‘그가 우리에게 알려진, 알려진 (well-known book) 책을 읽는다.' 의 의미가 된다.
간접 목적어는 명사, 대명사, 명사화된 형용사, 명사화된 동사를 여격, 탈격, 처격으로 나타낸다.
복합 간접 목적어는 주어의 형태에 후치사를 붙여 나타낸다.
상황어는 시간, 장소, 이유, 목적, 행동형태, 비교, 양보 등을 나타낸다.
형태에 따라 일반 상황어와 복합 상황어로 나뉜다.
doc/bashkir/4_ss/44_stype/44_styp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5 19:25 저자
김희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