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인구 : 베슈틴인 약 1만 2천명 정도가 베슈틴어 화자이다. 대부분의 베슈틴인은 모어로 베슈틴어를 사용하며 미취학 아동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인구가 아바르어와 러시아어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다중언어 사용자들이다.
사용지역 : 대부분의 베슈틴어 화자는 러시아 다게스탄(rus. Республика Дагестан)의 베슈틴구(rus. Бежтинский участок)에 거주하며 그 외 다게스탄을 제외한 다른 러시아 역내와 조지아 크바렐리주(rus. Кварельский муниципалитет)에서도 베슈틴어 화자인 베슈틴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나 그 비중은 매우 미미하다.
역사
베슈틴인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기록에 남아있는 디도이인의 일부 분파로 기록상으로 18세기 후반 경에야 디도이인과 별개의 민족으로 구분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1940년대 강제이주 정책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베슈틴인들이 체첸-인구시 자치공화국 지역으로 이주 당하였고 50년대 후반 대부분 귀환하였으나 기존의 거주지는 파괴 당하고 새로운 정착지를 형성한 지역들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90년대에 처음으로 끼릴 문자 기반의 아바르어 알파벳을 이용한 성경 등의 출판이 이루어졌다.
베슈틴어 연구의 역사
베슈틴어를 다룬 최초의 자료는 베슈틴어를 디도이어의 한 갈래로 본 L. S. Pallas(1787, 1789)의 비교사전이다. 카프카즈학자인 R. F. Erkert(1895)와 A. M. Dirr(1909)이 문법에 대한 간략한 서술을 남기기도 하였다. 소비에트 성립이후 베슈틴어 연구가 활성화 되었고 1965년에 최초로 베슈틴어 문법 전체를 다룬 단행본이 출간되었다 (G. I. Madiev, 1965). 1995년에는 7천개의 단어와 속담, 격언 등을 싣고 있는 최초의 러시아-베슈틴어 사전이 발행되었다 (M. Sh. Halilov, 1995).
2014년 G. I. Madiev 박사가 수행하는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베슈틴의 구어 문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베슈틴-러시아 어휘 및 민담 민속지 사전>이 출판되었고 베슈틴어 구어 이야기, 전설, 민요 자료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doc/bezhta/0_general/01_basic/01_basi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9 10:41 저자 안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