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biao:1_phonology:13_supra:13_supra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100%

성조

  • 시동방언에 6개의 서성조(舒声调)와 4개의 촉성조(促声调)가 포함되어 있다.
  • 다른 음절 앞에 나타나는 경우에, 1, 3, 5, 7, 9조는 보통 중평조(中平調)로 읽고 2,4, 6, 8, 10조는 보통 저평조(低平調)로 읽는다.
서성조류 조치 촉성조류 조치
1 55 7 55
2 214
3 54
4 132 8 12
5 35 9 35
6 22 10 22

한어 차용어의 성조 변화

  • 뱌오어에서 한어 차용어를 많이 찾을 수 있지만 한어 차용어를 독서음으로 읽는다. 차용어의 발음과 독서음이 회집(懷集)에서 사용되는 한어 방언의 발음과 가깝고 광동방언의 발음과는 많이 다르다.
  • 초기에 차용된 한어 어휘와 같은 경우에는, 청음류 글자의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을 뱌오어에서 각각 1, 3, 5, 7조로 읽고 탁음류 글자의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을 2, 4, 6, 8조로 읽는다.
  • 일부 초기에 차용된 한어 어휘의 성조가 달라졌다. 예를 들어, 초기에 차용된 어휘 ‘등(灯)’은 뱌오어에서 원래 1조로 읽었지만 현재 3조로 읽는다.
뱌오어 성조 중고 한어 월방언의 성조 예문
서성조 1 55 음평 55 kan55: 근(斤)
2 214 양평 214 kiu214: 다리(橋)
3 54 음상 54 kiu54: 아홉(九)
4 132 양상 132 søŋ132: 키우다(養)
5 35 음거 35 fai35: 폐(肺)
6 22 양거 22 tau22: 콩(豆)
촉성조 7 55 음입단 55 that55: 일곱(七)
8 12 양입단 12 sap12: 열(十)
9 35 음입장 35 pa:t35: 여덟(八)
10 22 양입장 22 la:p22: 캔들(蠟)

- 나중에 차용된 한어 어휘에서 성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두진 백화에서 음평으로 읽는 것을 뱌오어에서 3조로 읽고 교두진 백화에서 음상으로 읽는 것을 뱌오어에서 1조로 읽는다.

뱌오어 성조 교두진 백화의 성조 예문(1성→3성, 3성→1성, 2성→4성, 4성→2성)
서성조 1 55 음평 54, 55 kuŋ54: 노동자(工)
2 214 양평 132 huŋ132: 수컷(公)
3 54 음상 35 kɔŋ55: 이야기하다(講)
4 132 양상 214 θia214: 사(社)
5 35 음거 33 kɔn35: 마르다(干)
6 22 양거 22 pu22: 부서(部)
촉성조 7 55 음입단 55 tsat55: 질(質)
8 12 양입단 22 lap12: 입(立)
9 35 음입장 35 ta:p35: 답(答)
10 22 양입장 22 la:p22: 캔들(蠟)
doc/biao/1_phonology/13_supra/13_supra.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21 20:09 저자 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