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성조류 | 조치 | 촉성조류 | 조치 |
| 1 | 55 | 7 | 55 |
| 2 | 214 | ||
| 3 | 54 | ||
| 4 | 132 | 8 | 12 |
| 5 | 35 | 9 | 35 |
| 6 | 22 | 10 | 22 |
| 뱌오어 성조 | 중고 한어 월방언의 성조 | 예문 | |||
|---|---|---|---|---|---|
| 서성조 | 1 | 55 | 음평 | 55 | kan55: 근(斤) |
| 2 | 214 | 양평 | 214 | kiu214: 다리(橋) | |
| 3 | 54 | 음상 | 54 | kiu54: 아홉(九) | |
| 4 | 132 | 양상 | 132 | søŋ132: 키우다(養) | |
| 5 | 35 | 음거 | 35 | fai35: 폐(肺) | |
| 6 | 22 | 양거 | 22 | tau22: 콩(豆) | |
| 촉성조 | 7 | 55 | 음입단 | 55 | that55: 일곱(七) |
| 8 | 12 | 양입단 | 12 | sap12: 열(十) | |
| 9 | 35 | 음입장 | 35 | pa:t35: 여덟(八) | |
| 10 | 22 | 양입장 | 22 | la:p22: 캔들(蠟) |
- 나중에 차용된 한어 어휘에서 성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두진 백화에서 음평으로 읽는 것을 뱌오어에서 3조로 읽고 교두진 백화에서 음상으로 읽는 것을 뱌오어에서 1조로 읽는다.
| 뱌오어 성조 | 교두진 백화의 성조 | 예문(1성→3성, 3성→1성, 2성→4성, 4성→2성) | |||
|---|---|---|---|---|---|
| 서성조 | 1 | 55 | 음평 | 54, 55 | kuŋ54: 노동자(工) |
| 2 | 214 | 양평 | 132 | huŋ132: 수컷(公) | |
| 3 | 54 | 음상 | 35 | kɔŋ55: 이야기하다(講) | |
| 4 | 132 | 양상 | 214 | θia214: 사(社) | |
| 5 | 35 | 음거 | 33 | kɔn35: 마르다(干) | |
| 6 | 22 | 양거 | 22 | pu22: 부서(部) | |
| 촉성조 | 7 | 55 | 음입단 | 55 | tsat55: 질(質) |
| 8 | 12 | 양입단 | 22 | lap12: 입(立) | |
| 9 | 35 | 음입장 | 35 | ta:p35: 답(答) | |
| 10 | 22 | 양입장 | 22 | la:p22: 캔들(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