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onan:1_phonology:11_cons:11_cons

11_cons : 자음 (consonant)

  • 보난어의 파열음과 파찰음은 유기와 무기의 대립이 있으나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 인쇄상의 편리로 IPA에서의 유성 파열음과 유성 파찰음의 표기로 무기 파열음과 무기 파찰음을 표시하고, 무성 파열과 무성 파찰음의 표기로 유기 파열음과 유기 파찰음을 표기한다.
실제 표기와 IPA 표기 대응 표
IPA 기호 p t ts tsʰ tɕʰ tʂʰ k
실제 표기 b p d t dz ts ɡ k

자음 체계

조음위치 조음방법 음소
bilabial nasal m
bilabial plosive p(b) pʰ(p)
bilabial fricative f
bilabial approximant w
dental plosive t(d) tʰ(t)
dental affricative ts(dz) tsʰ(ts)
dental fricative s
palato-alveolar nasal n
palato-alveolar affricative tɕ(dʑ) tɕʰ(tɕ)
palato-alveolar fricative ɕ
palato-alveolar trill r
palato-alveolar lateral approximant l
retroflex affricative tʂ(dʐ) tʂʰ(tʂ)
retroflex fricative ʂ
velar nasal ŋ
velar plosive k(ɡ) kʰ(k)
velar fricative χ
uvular plosive ɢ
glottal fricative h
반모음 j
장음애

장애음은 총 19개이다. 6개의 마찰음: f, s, ɕ, ʂ, χ, h
7개의 파열음: p(b), pʰ(p), t(d), tʰ(t), k(ɡ), kʰ(k), ɢ 6개의 파찰음: ts(dz), tsʰ(ts), tɕ(dʑ), tɕʰ(tɕ), tʂ(dʐ), tʂʰ(tʂ)

파열음과 파찰음은 유기와 무기의 대립이 있으나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다.

공명음
  • 공명음은 총 3개이다. 비음: m, n, ŋ
이중자음
  • 비교적으로 안정적인 이중모음은 아래와 같이 총 9개가 있다. m, nd, ndʑ, ndʐ, ŋɡ, tχ, χdʑ, rtɕ, ltɕ
  • 앞의 7개는 음두에 출현하고 뒤의 2개는 음절 말에 나타난다.
  • 안정적이지 않은 이중모음은 다음과 같은 5개가 있다. fd, ft, fɡ, ʂb, ʂɡ
doc/bonan/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5 01:58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