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bonan: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추가된 모음에 < >화살 괄호를 붙여서 표기한다. 예컨대, <w>, <j>
  • 탈락된 모음은 ( )괄호를 붙여서 표기한다. 예컨대, (e), (u) 등

1) 모음의 약화와 탈락 그리고 추가

  • ə 모음의 약화 내지 탈락
  • 한 단어 내부에서 강세가 놓이지 않은 음절의 모음 -ə가 약화 내지 탈락된다.
  • 특히 ə로 끝나는 어간 뒤에 문법 성분이 따르면 강세가 뒤로 이동하기 때문에 강세음절에 포함된 ə가 약화 내지 탈락된다.

    예: morə:말 + -sə:격 → morə̆-sə:
    sarə:달 + -sə:격 → sar(ə)-sə:

ə 모음의 탈락
  • 단(短)모음 ə로 끝나는 동사어간 뒤에 모음으로 구성되는 문법 성분(서술문의 과거시제 표지 -o와 명령/청유의 표지 -e)이 올 경우 ə가 탈락된다.

    okə- : 주다 + -o : PST.DIREVID → ok(ə)o: 주었-(다)
    rə- : 오다 + -e : 명령/청유/의지(祈使句) 표지 → r(ə)e: 와라

u 모음의 약화
  • 미래 분사 어미 -ɡu가 뒤에 오는 조동사 ɕi나 ɕo와 연독(連讀))할 경우 u가 ə로 약화된다.

    예: dʑiɡ(u>)ə, ɕi…

u 모음의 탈락
  • 미래 분사 -ɡu가 뒤에 오는 조동사 i나 o와 연독(連讀))할 경우 u가 탈락된다.

    예: dʑiɡ(u) i…

ə모음의 추가
  •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간 뒤에 어미 -m(서술법 현재시제 표지)가 올 경우 어간과 어미 사이에 모음 ə를 추가한다.

    예: məs-:날다 + -m:(서술법 현재시제 표지) → məsəm : 난다.

2) 자음의 탈락과 추가

  • 자음의 탈락
  • 수사가 분류사와 결합할 경우, 수사 어간의 마지막 자음 ŋ와 날을 세는 분류사 udər(日)의 음절말 자음 r가 타락된다.


    네 번: de′rajaŋ (<deraŋ jaŋ)

    네 그릇: de′ riɢə (deraŋ ajiɢə)

    4 일: de′rudə(<deraŋ udər)

어두 자음의 탈락
  • 어두의 자음이 하나 이상을 가진 일부 단어를 읽을 때 두 자음을 모두 발음하는 방법과 첫 번째 자음을 탈락시키는 방법은 있으나 탈락시키는 경향이 더 강하다.

3) 자음의 추가

  • -ə를 제외한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모음으로 구성되는 문법 성분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성분이 올 경우 w 혹은 j가 추가된다.

-동사 어간 뒤에 오는 문법 성분이 -e나 -a인 경우 w와 j가 모두 추가 가능하나, 문법 성분 - o인 경우 w만 붙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la-:울다 + -o: PST.DIREVID -> lawo: 울었다.

la-:울다 + -e: HORT -> lawe /laje: 와!
doc/bonan/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5 14:39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