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bonan:4_ss:48_tame:48_tame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동사 뒤에 붙는 표지는 종결형과 비종결형으로 나뉜다. 비종결형은 다시 연결형과 분사형으로 나뉜다.
  • 동사는 시제, 상, 법, 증거성 범주를 모두 가지고 있다.
  • 동사의 시제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세 가지가 있고 상(aspect)은 진행상과 완망상 두 가지가 있다.
  • 시제와 상은 다시 직접증거성과 간접증거성에 따라 구분된다.
  • 서법(mood)에는 명령법과 직설법이 있다.

(1) 조동사(계사(copular)와존재 동사)와 증거성

  • 조동사는 동사의 분사형과 연결어미 그리고 일부 동사의 어간과 결합하여 시제나 상을 나타낼 수 있다.
  • 구체적인 결합 양상의 시제-상-서법 부분을 참고할 수 있다.
  • 일부 조동사가 일반 동사처럼 굴절 변화가 있지만 일부 조동사는 굴절 변화가 없다.
  • 체언이 문장의 술어 자리에 오게 되면 판당 동사가 쓰인다.
  • 존재 동사와 판단 동사는 직접증거성과 간접증거성을 구분하는 두 가지 체계가 있다.
  • 화자가 직접적으로 경험한 것이나 확실하게 아는 사실인 경우 i계 조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 직접적으로 경험한 것이 아닌 것이나 확실하게 아는 사실이 아닌 경우 a/o계 조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판단 조동사와 존재 조동사
  • 판단조동사와 존대조동사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직접증거성 간접증거성
판단 조동사의 긍정형i-, mbi- o, mba
판단 조동사의 부정형ɕi- ɕo
존재 조동사의 긍정형wi- wa
존재 조동사의 부정형ɡi- ɡinə
  • i-와 o는 ‘이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 mbi-와 mba는 ‘바로 ~이다’정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 ‘i-’계에 i-, mbi-, ɕi-, wi-, ɡi-가 있다.
  • ‘a/o’계에 o, mba, ɕo, wa, ɡinə가 있다.
  • ‘i-’계의 조동사는 굴절 변화가 가능하지만 a/o계는 굴절 변화를 취할 수 없다.
  • 조동사가 동사 어간과 결합하는 양상의 시제-상-서법 부분을 참고할 수 있고 여기서는 체언과 결합하는 양상을 기술한다.
bona1250 buhe2008:356
bŭbaonaŋkuŋi.
1SG.NOMbaoanpeopleCOP.DIREVID
나는 보난족 사람이다.
  • ‘i-’는 단독적으로 대답으로 쓰일 수 없다. 그러나 mbi와 mba는 가능하다.
bona1250 buhe2008:357
mənəɡaɡə-dəuerəwi.
1SG.GENbrother-DAT.LOCwifeEXIST.DIREVID
우리 오빠(형)는 아내가 있다.
  • 비직접적인 경험이나 확실한 사실이 아닌 경우
bona1250 buhe2008:357
ndʑaŋbaonaŋkuŋo.
3SG.NOMbaoanpeopleCOP.INDIREVID
그는 보난족이다.
  • i계 조동사의 활용 양상
bona1250 buhe2008:357
tɕĭuar(ə)-dʑii-ɡutaɕiəi.
2SG.NOMtake-CVBCOP.DIREVID-FUT.PTCPstoneCOP.DIREVID
네가 가지고 있는 것은 돌이다.

능원(能願)조동사

  • 능원동사는 da-‘ㄹ 수 있다’와 edə-‘ㄹ 수 없다’ 두 개가 있다.
  • 능원(能願)조동사는 주로 동사 어간 뒤에 출현한다.
  • 능원 동사는 굴절 변화가 있다.
bona1250 buhe2008:357
bŭputɕĭda-m.
1SG.NOMwritecan-PRS.DIREVID
나는 쓸 수 없다. (쓰다:写)
bona1250 buhe2008:358
ndʑaŋda-ɡuɕo.
3SG.NOMcomecan-FUT.PTCPCOP.NEG.INDIREVID
그는 올 수가 없다.

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

  • uărə-'완성하다'와 sou-'앉다'가 문법화되어 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가 된다.
bona1250 buhe2008:358
dʑiandəruăr(ə)-o.
marketdispersefinish-PST.DIREVID
시장이 흩어져(파해) 버렸다.
bona1250 buhe2008:358
moruŋdəminɕiuuarsou-dʑi-o.
Huang.rivericebe.icedsit-CVB-COP.INDIREVID
황하가 아직 얼어 있다.

인용 표지

  • ɡə-'하다'가 'ɡəsə'로 문법화되어 가정 부동사로 쓰일뿐 아니라 그의 앞에 오는 문장이 인용문임을 나타낸다.
bona1250 buhe2008:358
ʂədʑaŋmaχɕiərə-ɡ(u)iɡəsəmanŋəkaiχuiɡ(ə)-e!
bosstomorrowcome-FUT.PTCPCOP.DIREVIDASSUM.QUOT1PL.INCLhave.meeting-HORT
만약에 사장님이 내일에야 올 것이라고 하면 우리가 회의를 합시다.

(2) 서법

1) 직설법

①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시제 표지
  • 동사 어간 뒤에 표지 -o를 붙인다.
Languages
bŭiamou-o.
1SG.NOMmealdrink-PST.DIREVID
나는 밥을 먹었다.
  • 이에 대한 부정은 동사 앞에 부정 부사 sə를 붙임으로써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1
bŭiamou-o.
1SG.NOMmealNEGdrink-PST.DIREVID
나는 밥을 먹지 않았다.
②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시제 표지
  •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 시제표지는 사람의 의지가 간섭할 수 없는 사건/사태에도 붙는다.
bona1250 buhe2008:351
tχahor-dəor-tɕ.
chickenhenhouse-DAT.LOCenter-PST.INDIREVID
닭이 계사에 들어갔다.
bona1250 buhe2008:351
ɡudəbŭedə-tɕ.
yesterday1SG.NOMill-PST.INDIREVID
어제 나는 아팠어.
  • 이에 대한 부정도 동사 앞에 부정 부사 sə를 붙임으로써 나타난다.
bona1250 buhe2008:351
ɡudəbŭedə-tɕ.
yesterday1SG.NOMNEGill-PST.INDIREVID
어제 나는 아프지 않았어.
③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현재시제 표지
  • 동사 어간 뒤에 표지 -m를 붙인다.
bona1250 buhe2008:351
bŭbaonaŋɡatɕi-̆nəmadə-m.
1SG.NOMbaonanlanguage-GEN.ACCknow-PRS.DIREVID
나는 보난어를 알아듣는다.
이에 대한 부정은 단호한 부정과 일반 부정 두 가지가 있다.
  • 동사 앞에 부정 부사 lə를 붙임으로써 어떤 사건이나 사태에 대한 강력한 부정을 나타낸다.
bona1250 buhe2008:351
ndʑaŋ-nəkədə-nəbŭɡənbəndʑi-m.
3SG-GENhome-GEN.ACC1SG.NOMat.allNEGgo-PRS.DIREVID
나는 그의 집에 아예 안 간다.
  • 단호한 부정이 아니라 일반적인 부정인 경우 간접증거-현재시제에 대한 부정을 사용한다.
bona1250 buhe2008:351
bŭbaonaŋɡatɕĭ-nəmadə-nə.
1SG.NOMbaonanlanguage-GEN.ACCNEGknow-PRS.INDIREVID
나는 보난어를 모른다.
④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현재시제 표지
  • 동사 어간 뒤에 -nə를 붙는다.
bona1250 buhe2008:351
nə-hoŋdʑoŋdʑiŋɡasaŋ,nda-ɡudeχar-nə.
this-yearcropsverygoodeat-FUT.PTCPmaybeenough-PRS.INDIREVID
올해 농작물이 좋아, 먹을 것이 충분할 것 같다.
  • 자주 나타나는 자연 현상을 표현할 때 일반적으로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현재시제 표지 -m를 사용한다.
bona1250 buhe2008:351
naraŋduŋbanɡə-səχărə-m.
suneast.side-ABL.COMPARcome.out-PRS.DIREVID
태양이 동쪽에서 뜬다.
  • 사람이나 동물의 어떤 습관을 나타낼 경우 일반적으로 -nə를 사용한다.
bona1250 buhe2008:351
ənəmorəkuŋ-nətʂaŋɡalə-nə.
thishorsepeople-GEN.ACCalwayskick-PRS.INDIREVID
이 말은 종종 사람을 찬다.
⑤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미래시제의 긍정형
  • 동사 어간 뒤에 미래 분사 어미 -ɡu가 붙은 후 직접증거성-조동사 i(긍정형)가 따른다.
bona1250 buhe2008:352
maχɕiəbŭɢodʑi-dədʑi-ɡ(u)i.
tomorrow1SG.NOMlinxia-DAT.LOCgo-FUT.PTCPCOP.DIREVID
내일 나는 임하에 갈 것이다.
  • 이에 대한 부정은 -ɡu 뒤에 직접증거성-조동사 ɕi(부정형)를 사용함으로써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2
maχɕiəbŭɢodʑi-dədʑi-ɡ(u>)əɕi.
tomorrow1SG.NOMlinxia-DAT.LOCgo-FUT.PTCPCOP.NEG.DIREIVD
내일 나는 임하에 안 갈 것이다.
⑥ 간접증거성-미래시제의 긍정형
  • 동사 어간 뒤에 미래 분사 어미 -ɡu와 간접증거성-조동사 o(긍정형)를 결합시켜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2
ndʑaŋtɕinadʑiəlandʐu-dədʑi-g(u)o.
3SG.NOMthe.day.after.tomorrowlanzhou-DAT.LOCgo-FUT.PTCPCOP.INDIREVID
그는 모래 란주에 갈 것이다.
  • 이에 대한 부정은 -ɡu 뒤에 간접증거성-조동사 ɕo(부정형)을 결합시켜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2
maχɕiəbədəleɡəuă̆rə-ɡ(u>)əɕo.
tomorrow1PL.EXCL.NOMdofinish-FUT.PTCPCOP.NEG.INDIREVID
내일은 우리 완성하지 못할 것이다.
⑦ 직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i(긍정형)를 추가하여 직접증거성-진행상을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2
ɢuarudər-dəbədədʐəŋkaiχuiɡə-dʑii.
thistwoday-DAT.LOC1PL.EXCL.NOMright.nowhave.meeting-CVBCOP.DIREVID
이 이틀 동안 우리는 (계속) 회의를 하고 있다.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의 긍정형인 i를 대신하여 직접증거성-조동사 ɡi(부정형)로 바꿈으로써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2
bŭɢuarudər-dəɢadʑirtar(ə)-dʑiɡi,sŭsula-dʑii.
1SG.NOMthistwoday-DAT.LOCfieldto.plant-CVBEXIST.NEG.DIREVIDwaterirrigate-CVBCOP.DIREVID
나는 이 이틀 동안 밭에서 경작하지 않(고 있지않)았고 물을 뿌리고 있었다.
⑧ 간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o(긍정형)를 추가하여 간접증거성-진행상을 나타낸다.
bona1250 buhe2008:352
ndʑasədʐəŋbaoɢdəiɢadə-dʑio.
3PLright.nowwheatcut-CVBCOP.INDIREVID
그들은 지금 밀을 베고 있다.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의 긍정형인 o를 대신하여 그에 대한 간접증거성-조동사 ɡinə(부정형)로 바꿈으로써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2
bŭtɕio-dəhaləwi-dəlolə-dʑiɡinə,tɕĭnəχaŋsou-dʑio.
1SG.NOM2SG-DAT.ACCeverywhere-DAT.LOCfind-CVBEXIST.NEG.INDIREVID2SG.NOMbutheresit-CVBCOP.INDIREVID
나는 여기저기서 너를 찾았는데, 여기에 앉아 있었구나!
  • 진행상에 대한 부정은 동사 앞에 부정 부사 sə를 붙임으로써 표현할 수도 있다.
bona1250 buhe2008:353
bŭŋɡalə-dʑii,serə-dʑii.
1SG.NOMNEGto.sleep-CVBCOP.DIREVIDbe.awake-CVBCOP.DIREVID
나는 안 잤어, 아직 깨 있어.
⑨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 동사어간 뒤에 과거 분사 -saŋ를 결합한 후 직접증거성-조동사 wi를 추가함으로써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3
bŭdʑiənjiŋndʑiə-saŋwi.
1SG.NOMmoviewatch-PST.PTCPEXIST.DIREVID
나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 wi(긍정형)를 대신하여 직접증거성-조동사 ɡi(부정형)를 결합시킴으로써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3
bŭdʑiənjiŋndʑiə-saŋɡi.
1SG.NOMmoviewatch-PST.PTCPEXIST.NEG.DIREVID
나는 영화를 본 적이 없다.
⑩ 간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 동사어간 뒤에 과거 분사 -saŋ를 결합한 후 간접증거성-조동사 wa(긍정형)를 추가함으로써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3
ndʑaŋdʑiənjiŋndʑiə-saŋwa.
3SG.NOMmoviewatch-PST.PTCPEXIST.INDIREVID
그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 wa(긍정형)를 대신하여 간접증거성-조동사 ɡinə(부정형)을 결합시킴으로써 표현한다.
bona1250 buhe2008:353
ndʑaŋdʑiənjiŋndʑiə-saŋɡinə.
3SG.NOMmoviewatch-PST.PTCPEXIST.NEG.INDIREVID
그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존재 동사 'wi-'의 완망상 형태는 다음과 같이 있다.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i.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i.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o.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o.

2) 명령법

의지법
bona1250 buhe2008:350
bŭndʑaŋ-dənəɡəkal-e!
1SG.NOM3SG-DAT.LOConespeak-HORT
내가 그와 얘기할게!
명령법
  • 명령법이 무표적이어서 동사의 어간이 명령법을 나타낼 수 있다.
  • 만약에 동사 어간이 자음으로 끝날 경우 해당 자음 뒤에 모음 ə를 추가할 수 있다.
Languages
tɕĭndʑaŋ-dəkal-∅!
2SG.NOM3SG-DAT.LOCspeak-IMP
네가 그에게 얘기해라!
Jussive
  • 화자가 제3자(문장의 주어)가 어떠한 행동을 하는 것을 원함을 나타낸다.
  • 희망법의 표지는 -ɡə이다.
Languages
ndʑaŋkal-ɡə!
3SG.NOMspeak-JUS
그가 말하도록 해라!
doc/bonan/4_ss/48_tame/48_tam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2:12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