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용어
-이른 시기의 차용어는 대부분 일상생활에 관한 차용어이고 정치나 문화에 관한 차용어도 없지 않다.
- 약 백여 년 전에, 보난족 사람들이 淸海省 同仁縣에 거주했을 때 티베트족과 매우 가깝게 지냈다. - 티베트어로부터의 차용어는 대부분 일상생활 용어이고, 대부분은 그때 같은 데에서 거주했을 때 차용한 것이다.
| dam: | 담 |
| ɕitɕiχaŋ: | 쥐 |
- 아랍어로부터의 차용어는 대부분 종교활동과 관련된 것들이다.
| mətɕiə: | 이슬람교 | 사원 |
| tabsə: | 염주 |
bənɕiə(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 능력 + -tə:형용사 파생 접사 → bənɕiə: 능력이 있는 rawu(티베트어로부터의 차용어): 묶은 긴 머리 + -tə:형용사 파생 접사 → rawutə: 묶은 긴 머리가 있는
고유어+차용어(티베트어)인 경우: naraŋ: 태양 + mataɢ: 꽃 → naraŋmataɢ: 해바라기
차용어(중국어)+ 차용어(티베트어) pu: 총 + man: 약 → puman: 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