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눈어의 수사는 기수사와 서수사로 나눌 수 있다.
기수사의 예는 'tasa : 하나', 'dusa : 둘', 'tau : 셋' 등이다.
서수사의 예는 'tastumaitasa : 제일', 'tastumaidusa : 제이', 'tastumaitau : 제삼' 등이다.
부눈어의 수사에는 사람을 세는 경우와 사람이 아닌 것을 세는 경우라는 두 가지 범주가 있다.
사람을 세는 경우는 Ca 중첩형식을 취한다. 예를 들면 'dadusa : 두 사람' 과 같다.
사람이 아닌 것을 세는 경우는 기수사의 형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dusa tu ahil : 두 권의 책'과 같다.
부눈어는 1에서 3까지의 수사는 자주 동사성 접두사와 결합한다.
동작의 횟수를 나타낼 때는 접사 부가시 고유한 형식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부눈어의 수사는 서술어와 수식을 담당하고, 수식어를 담당할 때는 수사와 명사사이에 접속사를 써서 연결한다.
그리고 수사도 자주 分格표지(피행위자, 객체를 나타내는 격표지)와 연용된다.
| na-saiv-an-ku-as | tu | tau | mas | 'ahil |
| IRR-give-place.FOC-1SG.GEN-2SG.NOM | PAT | three | ABL | book |
즉, 위 예문에서 'tu tau mas 'ahil' 는 '분격표지 + 수사 + 탈격표지 + 명사'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