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uyi:2_wordclass:28_clf:28_clf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1) 분류사의 분류

  • 부이어의 분류사는 명량사(名量詞)와 동량사(動量詞) 두 종류가 있다.

① 명량사(名量詞)

  • 명량사는 풍부하고 사물의 단위를 나타내며 사물의 종류를 구별하는 기능을 한다.

Ⓐ 같은 종류에 속하지 않는 사물은 다른 분류사를 쓴다.

pu31, vaN53(個): 사람을 셀 때 성별을 구별하지 않는 분류사.
laːu31, pau33(位): 나이가 든 남성에게만 쓰인다. 존대의 의미가 있다.

ma35 suaN35 laːu31(pau33) jia?35. 남성 손님 두 분이 오셨다.

zuai53(位, 個): 젊은 여성에게만 쓰인다.

zuai53 paM31 diau35 젊은 색시 한 명
saːm35 zuai53 bM?35 ?jui31 부이족 아가씨 세 명

tu11(只, 條, 尾, 匹): 동물을 계량할 때 쓰인다.

saːm35 tu11 kai33 닭 세 마리
tu11 nuan35 diau35 벌레 한 마리
suaN35 tu11 pja35 물고기 두 마리
ɣa13 tu11 ma31 말 두 마리

ko35(棵): 식물을 계량할 때에만 쓰인다.

ko35 vai31 taːu11 diau35 복숭아나무 한 그루
saːm35 ko35 pja?35 ɣaːu35 배추 세 포기

vaː?53(把, 張): 칼, 낫, 도끼, 호미 등을 계량할 때 쓰인다.

vaː?53 ʨiau11 diau35 가위 한 자루
vaː?53 ʨai35 diau35 쟁기 하나

  • 물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분류사로는 san13(根), tiau11(條), baM35(張, 片) 등이 있다.

san13(根): 굳은 막대기와 같은 물체를 계량할 때 쓰인다.
tiau11(條): 부드러운 막대기와 같은 물체를 계량할 때 쓰인다.
baM35(張, 片): 잎, 종이 등 조각과 같은 물체를 계량할 때 쓰인다.

suaN35 san13 tMN31 막대기 두 개
tiau11 tsaː?53 diau35 밧줄 한 줄

zuai31(串), tsu53(組), ʨoN55(群), puaN13(堆): 집단 사물을 계량할 때 쓰인다.
ku53(雙): 쌍으로 된 사물을 계량할 때 쓰인다.

ku53 tM53 diau35 젓가락 한 벌
ʨi13 ku53 zo?11 zau35 염주비둘기 몇 쌍

Ⓑ 명량사 ‘dan35(個)’가 널리 사용되며 사람, 동물, 식물 외에 다른 대부분 사물을 계량할 때 쓰일 수 있다. 추상 사물을 계량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suaN35 dan35lM?11dai35 감 두 개
saːm35 dan35 zaːn11 집 세 채
dan35 zu11 diau35 배 한 척
suaN35 dan35 taːu13li53 이치(도리) 두 가지

Ⓒ 명량사가 명사와 같이 각종 실사와 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da?35 조각 + laːu31 크다 ⇒ da?35laːu31 큰 조각

dan35 개 + paːi53kMn11 위 ⇒ dan35 paːi53kMn11 위의 (그)것

tu11 마리 + bin35 날다 ⇒ tu11 bin35 날아다니는 (그) 마리

② 동량사(動量詞)

  • 자주 쓰이는 동량사: pai11 번/차례(次, 趟), taːu33 번/회(次, 回), tan33 차례/번(頓).
  • 명사를 차용한 경우: ta35 눈(眼), paː?33 입(口).

ȵi35 듣다 + pai11 번 + diau35 하나 ⇒ ȵi35 pai11 diau35 한 번 듣다

ɣap11 물다 + paː?33 입 + diau35 하나 ⇒ ɣap11 paː?33 diau35 한 입 물다

NoN53 보다 + suaN35 둘 + ta35 눈(眼) ⇒ NoN53 suaN35 ta35 두 번 쳐다보다

(2) 분류사의 문법 기능

① 중첩

  • 분류사는 다 중첩할 수 있다. 중첩 형식은 ‘…마다(每X)’의 의미를 가진다.
qian1266 yucuirong2009:119
pu31pu31taːN33mu31faːn13.
CL.CLbeexemplar
사람마다 모범이 된다.

② 분류사와 수사의 결합

  • 분류사는 수사와 결합하여 문장에서 관형어, 보어 기능을 한다. 가끔 주어, 술어 혹은 목적어 기능도 할 수 있다.
qian1266 yucuirong2009:119
ku35pai35ȵi35pai11diau35.
1SGgolistenCLNUM
내가 가서 한 번 듣는다.
qian1266 yucuirong2009:120
tu11ɣap11tu11.
CLbiteCL
한 마리가 한 마리를 문다.
doc/buyi/2_wordclass/28_clf/28_cl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