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주 쓰이는 개체 계량 분류사는 다음과 같다.
- 명사의 고유적인 성질을 계량하는 분류사이다.
- 길쭉한 사물을 셀 때 쓰이는 분류사. - 밧줄, 길, 강, 막대기, 풀 등을 셀 때 쓰인다.
##### k_haŋ45(个) - 성질이 다른 여러 명사를 셀 때 쓰일 수 있다. - 용법은 ‘개(个)’와 비슷하다. - 사람, 물고기, 알, 돌, 모, 쌀, 꽃 등을 셀 때 쓰인다.
- 척도 분류사에는 표준 척도 분류사와 비표준 척도 분류사가 있다.
- 엄격한 규제에 따라 길이, 크기, 수량 등을 나타내는 분류사. - 이런 분류사들은 거의 다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 엄격한 규제가 없는 척도 분류사.
- 용량을 나타내는 분류사가 보통 명사의 성격도 겸한다. - 이런 유형의 분류사는 주로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 시간단위 분류사는 시간의 단위를 나타낸다.
- 불확정한 수량을 나타낸다. - 주로 ‘la:k23->31tək5(혹은 tək5)(조금, 좀)’, ‘la:k23->11nit5(혹은 nit5)(조금, )’가 있다.
- 동작이 일어나는 횟수를 나타낸다.
- 수사나 지시대명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분류사는 둘 사이에 있다.
- 수량사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가 수량사구 앞에 올 수도 있다.
| pyø53la:k23->31 | ka:m53 | ci31 | pek31 | kun45. |
| plant.PST | tangerine | several | hundred | CL |
- 수사가 ‘일(하나)’일 때 수사가 생략되면 분류사가 명사 앞에 바로 결합된다.
| tsa21tuŋ35 | me21 | ko21 | t_hien35->11ŋo21 | ləŋ23. |
| Chadong | EXIST | CL | Tian’e | ridge |
| k_wai35 | çia53 | ei53 | lən53, | ei53 | tsə55 | wu:n31. |
| this | two | CL | person | CL | eat | C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