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chadong:4_ss:41_cl:cl_grole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 차동어의 동사는 목적어 두 개를 가질 수 있는 경우가 있다.
  •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의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날 수 있다.
동사+간접 목적어+직접 목적어
chad1240 lirulong2012:156
mən21tθai53jie21çia53cian53ciei33kai45.
3SGgive1SGtwoCLegghen
그는 나에게 계란 두 근을 준다.
동사+직접 목적어 +([tθai53])+간접 목적어
  • 직접 목적어 앞에 결합되는 ‘tθai53’는 동사 ‘주다’로 쓰이고 간접 목적어 앞에 결합될 때 전치사로 쓰인다.
  • 이때 전치사를 생략해도 되는데 보통은 생략하지 않는다.
chad1240 lirulong2012:157
tθai53tsi53jien53tθai53jie21puk5.
giveCLcigarettePREP1SGsmoke
내가 담배를 피울 수 있게 담배 하나 줘.
  • 이때 간접 목적어가 뒤 문장의 주어 역할을 겸하고 있다.
chad1240 lirulong2012:157
jie21tθai53tsi53jien53(tθai53)mən21puk5.
1SGgiveCLcigarette(PREP)3SGsmoke
그가 담배를 피우라고 나는 그에게 담배 하나 줬어.
doc/chadong/4_ss/41_cl/cl_grol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14:30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