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chadong
»
9_etc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추적:
•
supra_stress : 강세 (stress)
•
tame_mir : 의외성 (mirativity)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chadong:9_etc:91_borrowing
목차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1) 완전 차용(혹은 음역)
(2) 차용어와 고유어의 결합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차동어에는 중국어 차용어가 많다.
시기적으로 봤을 때 조기 중국어 차용어와 만기 중국어 차용어의 구분이 있다.
조기 중국어 차용어는 주로 고대 광시(廣西)의 권위적인 방언인 구핑화(古平話)의 영향을 받았다.
만기 중국어 차용어는 주로 시난관화(西南官話)과 인접하는 핑화(平話)의 영향을 받았다.
음운 특징에서 봤을 때 조기 중국어 차용어가 중고 중국어(DC420-DC1279)의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
만기 중국어 차용어는 시난관화에 더 가깝다.
중국어 차용어는 주로 두 가지 차용 방식을 통해 차용된다.
(1) 완전 차용(혹은 음역)
이는 중국어 차용어가 차용되는 가장 중요한 방식이다.
1) 1음절 차용어
완전 차용에서 반 이상은 1음절 차용어다.
chad1240
lirulong2012
:77
su:ŋ53
: 서리
meu23
: 고양이
cim53
: 황금
fa53
: 꽃
tsət5
: 마리(분류사)
tyø31
: 송이(분류사)
toi45
: 켤레(분류사)
2) 2음절 차용어
2음절 차용어도 적지 않다.
chad1240
lirulong2012
:83
wu33
kwi53
: 거북이
hou11
tθei31
: 원숭이
lo11
seŋ53
: 땅콩
pa33
tsi:ŋ31
: 손바닥
ku33
jie53
: 고모부
ji33
seŋ53
: 의사
hak31
toŋ21
: 학교
2음절 차용어에서 고유어의 조어 방식대로 구성된 단어도 있지만 극히 적다.
chad1240
lirulong2012
:84
tou21
: 머리 +
fu21
: 도끼 →
tou11
fu21
: 도끼
hoŋ53
: 겨 +
lau23
: 늙다 →
hoŋ33
lau23
: 왕겨
3) 3음절 차용어
chad1240
lirulong2012
:84
ŋo23
ȵyet31
ŋo23
: 단오절
tseŋ33
ȵyet31
si21
: 설날
ma53
lin11
su31
: 감자
lo11
te11
tθo31
: 제수
tai11
tsy11
kuŋ53
: 부자
(2) 차용어와 고유어의 결합
중국어 차용어와 차동어 고유어의 결합 형태가 있다.
두 성분의 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수식관계
① 중심어+수식어
중국어 차용어와 고유어의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중국어 형태소 + 고유어 형태소
chad1240
lirulong2012
:86
tou35
: 콩 +
m_0a:n31
: 노랗다 →
tou11
m_0a:n31
: 황두
pi21
: 피부 +
la53
: 눈 →
pi11
la53
: 눈꺼풀
tei35
: 주머니 +
ji53
: 천 →
tei11
ji53
: 포대
tək5
: 방울 +
n_0am31
: 물 →
tək5
n_0am31
: 물방울
고유어 형태소 + 중국어 형태소
chad1240
lirulong2012
:87
m_0i53
: 손 +
tsəŋ45
: 바르다 →
m_0i11
tsəŋ45
: 오른손
m_0i53
: 손 +
sie23
: 기울다 →
m_0i11
sie23
: 왼손
kuk31
: 옷 +
ta:n53
: 얇다 →
kuk31
ta:n53
: 홑옷
kuk31
: 옷 +
mien21
: 솜 →
kuk31
mien21
: 솜옷
② 수식어+중심어
중국어 차용어와 고유어의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고유어 형태소 + 중국어 형태소
chad1240
lirulong2012
:87
na21
: 얼굴 +
pən21
: 대야 →
na11
pən21
: 세숫대야
m_0i53
: 손 +
kei45
: 덮개 →
m_0i33
kei45
: 손톱
ȵiok23
: 새 +
ts_huŋ45
: 총 →
ȵiok31
ts_huŋ45
: 조총
ciei45
: 계란 +
pei23
: 희다 →
ciei45
pei23
: 흰자
중국어 형태소 + 고유어 형태소
chad1240
lirulong2012
:88
pu:n45
: 절반 +
ciai45
: 산 →
pu:n33
ciai45
: 산허리
toi45
: 맞다 +
na21
: 얼굴 →
toi11
na21
: 맞은편
tθa:m21
: 누에 +
fa45
: 잎 →
tθa:m11
fa45
: 뽕잎
hou35
: 후 +
ni23
: 어머니 →
hou11
ni23
: 계모
2) 서술어+목적어
chad1240
lirulong2012
:88
wi21
: 둘러싸다 +
pien53
(고유어) : 밭 →
wi11
pien53
: 울타리
ȵ_0iak5
(고유어) : 베다 +
muŋ45
: 꿈 →
ȵ_0iak31
muŋ45
: 꿈을 꾸다
3) 병렬관계
chad1240
lirulong2012
:88
mui35
: 여동생 +
k_ha:n53
(고유어) : 손자 →
mui11
k_ha:n53
: 외손자
ciu:ŋ21
(고유어) : 많다 +
si:u31
: 적다 →
ciu:ŋ11
si:u31
: 얼마
4) 주어+서술어
chad1240
lirulong2012
:88
la53
(고유어) : 눈 +
muŋ53
: 모호하다 →
la33
muŋ53
: 장님
l_0ai53
(고유어) : 등 +
to21
: 굽다 →
l_0ai11
to21
: 곱사등이
5) 파생된 차용어
chad1240
lirulong2012
:88
la:k23tau21
: 복송아
lau11
səŋ21
: 도시
ka:ŋ53
çia:ŋ45
: 반짝반짝하다
p_haŋ45
pəm35
: 통통하다
doc/chadong/9_etc/91_borrowing.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15:04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