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chechen:4_ss:48_tame:48_tame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

시제

  • 동사의 형태에 따라 시제를 나타낸다.
  • 보통 어형 변화표에는 동사의 부정사, 현재, 완성된 멀지 않은 과거 의 형태가 나타나 있다.
  • 동사의 부정형으로 부터 시제와 관계되는 (과거후, 현재후, 미래후)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 현재형의 어간으로 부터 과거 비완망상, 미래완망상, 미래 비완망상, 현재 분사, 동명사, 부동사 현재의 형태가 파생된다.
IMPERF охура(경작하다)
FUT.IPFVохур
FUT.PFVохур ду
PRESPоху(н)
SUPINEохург
CVB.PRSохуш
  • 얼마 되지 않은 과거 완망상은 완전히 완료된 과거의 어간을 갖는다.
  • 먼 과거는 가까운 과거의 어간에서 형성된다.

  • 동사의 상은 유형별로 세가지의 그룹으로 나뉜다.
    • 1회성
    • 다회성
    • 일반적(중립)
  • 1회성과 다회성은 다음과 같은 변이를 갖는다.
    1회성лиелла(몰아내다)кхийсар(던지다)
    다회성Лаллакхосса

  • 조건법은 현재와 얼마되지 않은 과거의 시제를 갖는다.

직설법

  • 직설법은 별도의 표지를 갖지 않는다.
  • 직설법은 모든 시제를 갖는다.

명령법

  • 명령법, 명령-바램법, 희구법, 시제의 형태를 갖지 않는다.
  • 명령법의 단수, 복수도 접미사로 나타낸다.
명령법의 단수, 복수 예시
chec1245 Desheriev1966:200
ала-хьа
tell-2SG.
말해줘
chec1245 Desheriev1966:200
Ал-и-йта
Tell-?-2PL
말해주세요
  • 명령법은 동사의 어간의 모음으로 나타내며, 주로 'а' 가 온다.
    • кхосс-а : 버려라, 던져라
    • лах-а : 찾아라
    • -а 가 아닌 경우 : гІуо : 가라
  • 명령 중 바램을 나타내는 명령은 대명사의 2인칭 단수 형태의 접사로 나타낸다.
    • вада-хь(а) : 뛰어가줄래? , 제발 뛰어주라
    • ала-хь(а) : 말해줄래?, 제발 말해주라
  • 한 사람이 아닌, 여러 사람에게 부탁조의 명령을 할 때에는 대명사2인칭 복수 형태의 접미사를 쓴다.
    • идийш(а)
    • алийш
doc/chechen/4_ss/48_tame/48_tame.152939284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19 16:20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