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choyo:1_phonology:11_cons:11_cons

11_cons : 자음 (consonant)

  • 단자음성모와 이중자음성모로 나뉜다.

단자음성모

  • 단자음성모는 44개가 있다.
p t k q
ph th kh qh
b d ɡ
ts
tsh tʂh tɕh
dz
ȵ̥̥ ŋ̥̥̥̥
m n ȵ ŋ
l
r
f s ɬ ʂ ɕ x h
z ʐ ʑ ɣ ɦ
w j
quey1238 sunhongkai2007:1062
p pe⁵³ 오줌 ph phi⁵³ 재(초목회(草木灰)) b bu⁵⁵ 배(신체부위)
m̥ɯ⁵³ 사람 m mu⁵³ 남동생 w we⁵⁵ 돼지
f fẽ⁵⁵ 밀가루 ts tsE³⁵ 그 tsh tshɛ⁵³ 염소
dz dzi³⁵ 이다 s sai⁵³ 피 z zi⁵³ 남자
t tu³⁵ 독(毒) th thõ⁵⁵ 고기 d du³⁵ 팔지
n̥ u⁵³ 감히 n nu⁵³ 우유 l le⁵⁵ 토지
r ri⁵³ 찢다 ɬ ɬai⁵⁵ 벼룩 tʂɛ⁵³ 흙
tʂh tʂhɛ⁵³ 매 dʑai⁵³ 날개 ʂ ʂa⁵³ 밀
ʐ ʐũ³⁵ 물고기 tɕi⁵³ 허리 tɕh tɕhɯɛ⁵³ 개
dʐi³⁵ 바지 ȵ̥̥ ȵ̥̥ e⁵³ 이삭 ȵ ȵe³⁵ 너
ɕ ɕə⁵³ 걷다 ʑ ʑi³⁵ 물 j jɛ⁵⁵ 집
k ku⁵³ 이 kh kho⁵³ 소리 ɡ ɡi³⁵ 말
ŋ̥̥̥̥ ŋ̥̥̥̥ ua⁵⁵ 짖다 ŋ ŋa³⁵ 나 x xo⁵³ 머리
ɣ ɣa³⁵ 문 q qo⁵⁵ 열쇄 qh qhɛ⁵³ 똥
h hõ⁵⁵tõ⁵⁵ 무릎 ɦ ɦõ ³⁵ 거위
  • 구체적 설명은 다음과 같다.
  • (1) 찰음 s와 ɕ는 발음할 때 기류가 좀 강하고, 음치는 유기음인 sh, ɕh와 비슷하지만 양자는 대립적인 관계에 있지는 않다.
  • (2) 자음 l은 약간의 청화(淸化) 효과를 일으켰으며, 일부의 고유어에서 ɬ과 자유적으로 교체해서 발음할 수 있다.
  • (3) 자음 r과 ʐ는 자유적으로 교체해서 발음할 수 있다. 예컨대, ri³⁵/ʐi³⁵ ‘산’이 있다. 하지만 두 번째 음절에 나타날 경우, 로만 발음된다. 예컨대, thõ⁵⁵rə⁵³ ‘마시다’가 그렇다.
  • (4) 비음 n과 ȵ은 고모음 i와 결합할 때 자유적으로 교체해서 발음할 수 있다. 예컨대, a⁵ni⁵⁵/a⁵ȵi⁵⁵ ‘큰어머니, 백모’는 그렇다.
  • (5) 찰음 x와 h는 대립적인 음소이며, h는 티베트어 차용어에서 많이 나타난다.
  • (6) 탁찰음 ɦ는 고승조에서만 나타나지만 ɣ와는 대립적인 관계에 있다.

이중자음성모

  • 이중자음성모는 9개가 있으며, 구조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 가지는 비음이 같은 발음 부위의 탁색음, 탁색찰음과 결합해서 형성한 것이고, 예컨대 mb, ndz, nd, ndʐ, ȵdʐ, ŋɡ가 있다. 다른 한 가지는 양순색음 p, ph, b를 기본자음으로 하여, 찰음 ʐ와 결합해서 형성한 것이고, 예컨대 pʐ, phʐ, bʐ는 그렇다. 후치자음 ʐ는 p, ph 뒤에 나타날 경우 실제 음치는 ʂ로 나타난다.
doc/choyo/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7 22:27 저자 마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