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chulym:4_ss:48_tame:48_tame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동사의 상

  • 출름어에는 동사의 상을 갖지않는다.

  • 상호태, 재귀태, 피동태, 사역태 를 가지며, 다른 튀르크어에서 나타나는 태의 형태의 방법과 다르지 않다.

서법

직설법

  • 시제를 나타낸다.

희구법

  • 표지 : –гай, -кай , -налдыр, -калдыр
  • 남부 방언에서는 –гай 를 중부방언에서는 –гач 를 쓴다.

조건법

  • 표지 : -са(현재-미래 시재)
  • 중부 방언에서는 두개의 형태를 더 가진다 : алга, -аллык

가정법

  • 표지 : -ар, -лык
  • -ар 와 –лык 의 차이점은 –лык 을 쓸 때 더욱 큰, 간절한 바람을 나타낸다.

시제

  • 시제는 현재, 미래, 과거가 있다.

현재

  • 현재 시제는 –ады, -тур, -от, -ыл, -йат. –чат, 를 동사의 어간에 붙여 나타낸다.
  • -от 는 행위의 경과, 흐름을 나타내며, -чат 는 지속성, -ыл 과 –чат가 함께 쓰이면 끊임없는 지속성을 나타내나.

미래

  • 미래 시제 표지 : -лык
  • 남부 방언에서는 미래시제를 세가지의 접사 형태로 나타낸다. : -ар, -лык, -гок
  • -лык 은 보다 확실한 미래를 나타낸다.

과거시제

  • 과거시제는 하나의 형태만 갖는다. : -ган
  • 남부 방언에서는 –диган
doc/chulym/4_ss/48_tame/48_tam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5 20:39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