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바시어를 모어라고 생각하는 추바시인 : (언어법 통과 이전) 76.4%, 러시아어 제2의 언어로 구사 : 65%
도시의 젊은 세대는 모어를 적극적으로 배우고 있고, 추바시인이 아닌 사람들도 젊은 세대는 추바시어를 배우는 추세.
사용지역
추바시인 거주지역: 러시아 볼가강 중류와 우랄 산맥 서부. 추바시공화국, 타타르스탄(134221명), 바시키르(118509명), 사마르주(117914명), 울리야놉스크주(116539명). 시베리아 각지, 즉 크라스노야르스크주, 케레로보주, 튜멘주, 마가단주 등(10만명 이상), 모스크바와 모스크바주(31741명).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이외 지역에 남은 추바시인은 5만 명 이상(카자흐스탄-22300, 우크라이나-20400)
연구 역사
고대불가르 시기: 4-11세기. 불가르 부족연맹의 성립과 해체. 일부 불가르인 발칸으로 이주(7세기), 일부는 볼카-카마강 유역에 정착(8세기). 몽골에 의한 볼가불가르의 패망으로 이 시기가 끝남.
중기불가르 시기: 13-16세기. 킵차크 칸국, 카잔 칸국 시기. 추바시 민족과 언어의 형성기. 불가르 부족과의 관련을 계승.
신불가르 시기(본추바시 시기): 1552년 카잔 칸국의 멸망 이후. 추바시어와 러시아어의 접촉 강화.
주요 연구자
주요 연구기관
18세기 추바시어 연구의 중심지는 니즈니 노브고로드. 여기에서 최초의 추바시어 문법서 발간(1769)
카잔 대학 설립(1804) 이후 중심지는 카잔으로 이동. 카잔 대학에서 추바시 민족 계몽운동가 야코블레프(I.Ya. Yakovlev) 수학. 후에 일민스키(N.I. Ilminskiy)와 최초의 추바시어 알파벳 창안(1871-1872). 최초의 추바시어 철자본 출판.
카잔에서 아시마린N.I. Ashmarin의 기본서들 출판
추바시 공화국 설립(1924) 이후 추바시 문화와 언어의 중심지는 체복사리로 이동.
1930년. 언어문학역사 연구소 설립(현재 체복사리 국립인문학대학). 현재의 추바시어 연구 중심지.
체복사리에 울리야노프 체복사리 국립대학교, 야코블레프 국립사범대학교
doc/chuvash/0_general/01_basic/01_basi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11:55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