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chuvash
»
4_ss
»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추적: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51_neg : 부정 (negation)
•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chuvash:4_ss:44_stype:44_stype
목차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무인칭 구문
의문문
복문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무인칭 구문
추바시어에 무인칭 구문은 극히 적음.
chuv1255
andreyev2005
:397
пӱлӗмре
пăчă
room.LOC
stuffy
방 안이 갑갑하다
위 예에서 발화내용이 발화행위의 순간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사 형태는 없음
의문문
의문은 의문사, 첨사로 표현됨
억양은 보조적 역할뿐
문장 내 의문사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움
의문 첨사는, 대개 발화 전체의 부정을 표현하는 표지와 마찬가지로, 술어에만 붙음
문장의 어떤 요소를 묻는 것인지는 어순의 변동으로 표현됨
chuv1255
andreyev2005
:397
кӱршӗ
ыран
Мускав-а
кай-ать-и?
neighbor
tomorrow
Moscow.DAT.ACC
go-FUT-UNK
이웃사람이 내일 모스크바에 가나?
chuv1255
andreyev2005
:397
Мускава
ыран
кӱршӗ
кай-ать-и?
Moscow.DAT.ACC
tomorrow
neighbor
go-FUT-UNK
모스크바에 내일 이웃사람이 가나?
복문
각 절은 억양 또는 병렬 접속사 또는 다양한 종속연결 수단으로 연결됨
복문의 유형: 접속사 없는 복문, 병립복문, 종속복문
접속사(병렬, 종속)는 대개 고유어
병렬 접속사는 대개 첨사와 부사형태에서 온 것이고, 종속 접속사는 동사 어형이 굳은 것임
chuv1255
andreyev2005
:397
тесе, тесен : ~하기 위해(목적)
пулсан : 만약(조건)
пулин те : ~한다 해도(양보)
형동사와 부동사로 표현되는 행위의 주체는 거의 항상(예외는 거의 없음) 기본격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근거로 그것을 의미상 그성과 연관된 비인칭 동사형태에 대한 주어로 볼 수 있다.
종속 연결의 수단은 단어결합의 구성요소와 복문의 구성요소에 공통적이다.
doc/chuvash/4_ss/44_stype/44_styp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8 20:56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