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는 단음절 형용사 뒤에 중첩 음절, 혹은 같은 운모, 같은 성조의 음절 두 개를 부가하여 형용사 의미의 정도를 구별하거나 모종의 수식 효과를 줄 수 있다.
다음의 예는 시수앙반나 방언에서 ‘빨갛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형용사들이다.
단음절 형용사 뒤에 두 개의 중첩 음절이 부가되거나 같은 운모를 가진 두 개의 음절이 부가되거나, 같은 성조를 가진 두 개의 음절이 부가된 것을 볼 수 있다(서로 간 의미 차이가 있을 듯 하나 yucuirong(2009)에 그 의미 차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다).
다이어에서 어떤 단음절 형용사는 중첩할 수 있으며 중첩한 후에는 정도가 심화된다.
다음은 시수앙반나 방언의 형용사 ‘vai:빠르다’가 중첩된 예이다.
다음은 더홍 방언의 형용사 ‘lam1:많다’가 중첩된 예이다.
다이어의 형용사는 ‘tɛ4(te4te4): 매우’의 수식을 받아 정도가 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은 시수앙반나 방언의 예이다.
다음은 더홍 방언의 예이다.
다이어의 형용사는 뒤에 비교를 나타내는 부치사 ‘lə1(si1)’를 대동해서 비교문을 만들 수 있다.
다음은 더홍 방언 비교문의 예이다.
다이어의 형용사는 명사와 명량사를 수식할 수 있다.
명사를 수식한 예는 다음과 같다.
명량사를 수식한 예는 다음과 같다.
다이어의 형용사는 동사를 수식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형용사는 명사 보어를 대동하기도 하는데 이 보어는 형용사의 성질, 상태와 비슷한 개념을 나타낸다.
시수앙반나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
어떤 형용사는 동사처럼 목적어를 대동하기도 한다.
더홍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