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dai:2_wordclass:27_num:27_num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27_num : 수사 (numeral)

기수사

상용 기수사

  • nɯŋ6(ləŋ6) : 일, 정
  • et7(et9) : 일
  • sɔŋ1 : 이
  • saːm1 : 삼
  • si5 : 사
  • ha3 : 오
  • hok7(hok9) : 육
  • tset7(tset9) : 칠
  • pɛt9 : 팔
  • kau3 : 구
  • sip7 : 십
  • saːu2 : 이십
  • hɔi4(paːk9) : 백
  • pan2(heŋ1) : 천
  • mɯn5(mun5) : 만

이 중에서 saːu2(이십)는 수사 saːm1(삼)의 수식만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육십은 hok7sip7(육십)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saːm1saːu2(삼이십)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팔십은 pɛt9sip7(팔십)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si5saːu2(사이십)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다이어 수사와 중국어 수사의 다른 점

(1) ‘一’을 나타내는 수사 nɯŋ6(ləŋ6)은 양사 뒤에 쓰임

현대 중국어에서 수사 ‘一’은 양사 앞에서 쓰이는 반면 다이어에서 ‘一’을 나타내는 수사 nɯŋ6(ləŋ6) 은 양사 혹은 양사 작용을 하는 명사 뒤에서만 쓰일 수 있다.

luuu1242 yucuirong2009:314
vaːn5nɯŋ6
dishone
그릇 하나
(2) ‘整’ 개념 나타내기

십 혹은 십의 배수 뒤에 nɯŋ6(ləŋ6)을 부가해서 ‘整’의 개념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sip7nɯŋ6 : 一十整
  • saːu2nɯŋ6 : 二十整
  • hɔi4nɯŋ6 : 一百整
  • mɯn5nɯŋ6 : 一萬整

그러나 삼십부터 구십 사이의 숫자 뒤에서는 ‘整’의 개념을 나타낼 때는 nɯŋ6(ləŋ6)을 쓰지 않고 tat8 을 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si5sip7tat8 : 四十整
  • kau3sip7tat8 : 九十整
(3) 어림수 나타내기

다이어에서 二 이상의 수사 혹은 二 이상의 두 개의 인접한 수사와 양사가 조합되어 같이 나타나는 경우, 그 뒤에 nɯŋ6(ləŋ6)을 부가해서 그 앞의 수가 어림수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luuu1242 yucuirong2009:314
Si5ha3noi5nɯŋ6
fourfiveCLone
네다섯 개
doc/dai/2_wordclass/27_num/27_num.151755622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2/02 16:23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