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의 부치사 중에는 동사로부터 전화된 것들이 있다. 그 중 현재도 여전히 동사로서 서술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부치사구는 일반적으로 동사 혹은 형용사를 수식하거나 보충하는데 쓰이는데, 수식할 경우는 동사와 형용사 앞에 놓이고 보충할 경우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놓인다.
부치사구는 시간, 장소, 방향, 목적, 비교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장소, 시간, 방향을 나타내는 시수앙반나 방언의 부치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 중에서 ‘luk8 : -로부터’의 예는 다음과 같다.
‘hɯ3 : -에게’의 예는 다음과 같다.
장소, 시간, 방향을 나타내는 더홍 방언의 부치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 중에서 ‘ti6 : -에’의 예는 다음과 같다.
‘to5 : -에 대하여, -를 향하여’의 예는 다음과 같다.
시수앙반나 방언에서 원인, 목적을 나타내는 상용 부치사로는 ‘pə6 : -을 위하여, -때문에’ 가 있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더홍 방언에서 원인, 목적을 나타내는 사용 부치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 중에서 ‘haɯ3 : -을 위하여’의 예는 다음과 같다.
kau6 | sɔm3 | phak7 | haɯ3 | taŋ2laːi1 |
1SG | sow | vegetable | PREP.for | everybody |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부치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 중에서 ‘naŋ3 : -와’의 예는 다음과 같다.
피동을 나타내는 부치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tso3 - se1 (시수앙반나 방언에서만 쓰인다)
‘tso3’의 예는 다음과 같다.
Xau3 | tso3 | kai5 | sak7 | kin1 | sam4 | hən3 |
grain | PASS | chicken | peck | eat | finish | PFV |
‘se1’의 예는 다음과 같다.
시수앙반나 방언에서는 비교를 나타내는 부치사로 다음을 사용한다.
‘lə1’의 예는 다음과 같다.
‘mən1’의 예는 다음과 같다.
더홍 방언에서는 비교를 나타내는 부치사로 다음을 사용한다.
‘si1’의 예는 다음과 같다.
‘mən1’의 예는 다음과 같다.
‘taːn5’의 예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