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darang:2_wordclass:28_clf:28_clf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다랑어의 양사는 그리 풍부하지는 않다. 전용의 양사는 비교적 적고, 대부분은 명사나 동사를 빌려서 양의 개념을 나타낸다. 양사는 명량사(名量詞)와 동량사(動量詞)로 나뉜다. 전용의 명량사로 tiɯŋ³⁵ ‘필, 마리’(주로 동물에 쓰임), bɹɯ⁵³ ‘자루, 줄, 그루’(주로 길고 가는 모양의 물건에 쓰임), plɑ⁵⁵ ‘장, 편, 조각’(주로 평평하고 얇은 물건에 쓰임), pe⁵³ ‘칸, 동, 채’(주로 대형 물건의 계량에 쓰임) 등이 있다.
  • 양사와 수사의 결합 순서는 양사는 앞, 수가는 뒤에 오는 것이다.
diga1241 sunhongkai2007:612
mɑ³¹sɯŋ⁵³ bɹɯ⁵³ mɑ³¹ŋɑ³⁵ 나무 다섯 그루 tɑ³¹ko⁵⁵ nɑ³⁵ ɡie⁵³ 책 한 권
나무 그루 다섯 책 권 한
mɑ³¹ɹoŋ³⁵ tiɯŋ³⁵ kɑ³¹n⁵⁵ 말 두 필 ŋ³⁵ pe⁵³ liɯm³⁵ 방 여덟 칸
말 필 두 방 칸 여덟
  • 많은 경우 양사를 생략하고 수사가 명사와 직접 결합한다.
diga1241 sunhongkai2007:612
mɑ³¹tsɑu⁵³ kɑ³¹n⁵⁵ 소 두 마리 tɕu⁵⁵tsɑi⁵⁵ mɑ³¹ŋɑ³⁵ 테이블 다섯 개
소 두 테이블 다섯
  • 명량사는 비교적 적고, 많이 사용된 명량사는 bɯ³⁵ ‘회, 번, 차례’이다. 명량사는 행위나 동작의 횟수를 나타내며, 횟수가 1일 경우, 수사를 생략해도 되고, 횟수가 1이상일 경우, 수사와 양사가 모두 생략하면 안 된다.
diga1241 sunhongkai2007:612
bɯ³⁵ xueŋ⁵³ 한 번 보다 tiɑ⁵⁵ kɑ³¹n⁵⁵ mɑ³¹ɹo⁵⁵ 두 번 말하다
번 보다 번 두 말하다
  • 양사 뒤에 ɹɯŋ⁵⁵tsɑi⁵⁵ 또는 lɑ⁵⁵m⁵⁵을 붙어서 ‘매, 마다’의 의미를 표시한다. ɹɯŋ⁵⁵tsɑi⁵⁵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lɑ⁵⁵m⁵⁵은 보통 시간을 나타내는 양사 뒤에 붙는다.
diga1241 sunhongkai2007:612
bɹɯ⁵³ ɹɯŋ⁵⁵tsɑi⁵⁵ 근마다 tiɯŋ³⁵ ɹɯŋ⁵⁵tsɑi⁵⁵ 필마다
근 (마다) 필 (마다)
nɯŋ⁵⁵ lɑ⁵⁵m⁵⁵ 매년 liɯŋ⁵³ lɑ⁵⁵m⁵⁵ 저녁마다
년 (매) 저녁 (마다)
doc/darang/2_wordclass/28_clf/28_cl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8 00:59 저자 마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