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darang:8_lexicology:81_voca:81_voca

81_voca : 어휘 체계 (vocabulary)

  • 다랑어는 티베트버마어파(Tibeto-Burman)에 속함으로 어휘 중에서 상당한 부분의 기본 어휘가 동일 어족에 속해 있는 다른 언어와 같은 기원을 가진다. 예컨대, kuɑɯ⁵³ ‘개’, mɑ³¹ɹoŋ³⁵ ‘(동물)말’, phlɑŋ³⁵ ‘돌’, na³¹mɯn⁵⁵ ‘불’, piɑ⁵⁵ ‘새’, tɑ³¹ŋɑŋ⁵³ ‘물고기’, tɑ³¹bu⁵⁵ ‘뱀’, mɑ³¹sɯŋ⁵³ ‘나무’, me³⁵ ‘사람’, ɑ³¹mɯŋ⁵⁵ ‘이름’, xɑ³¹mɯn⁵³ ‘(불을)끄다’, se⁵³ ‘죽이다’, ɕi⁵⁵ ‘죽다’, khlɑi⁵⁵ ‘(맛이)쓰다’, kɑ³¹sɯŋ³⁵ ‘셋’, mɑ³¹ɡɑ³⁵ ‘다섯’……
  • 생활 습관과 사회 요건에 때라 다랑어는 많은 특유의 어휘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등인은 쥐를 먹는 풍습이 있는데 결혼할 때 항상 쥐고기 육포를 혼수로 하며, 그들의 언어에서도 10여 가지의 쥐의 이름과 관련된 명칭이 있고, 이 중 집쥐와 들쥐를 포함한다. 예컨대, kɑ³¹tɕi⁵⁵ ‘집쥐’, kɑ³¹peŋ⁵⁵ ‘들쥐’, kɑ³¹so⁵³ ‘큰 들쥐’, kɑ³¹ɕoŋ³⁵ ‘붉은 쥐’, thɯ³¹ɹɑi⁵³bɹɑi⁵⁵ ‘긴 꼬리의 쥐’, xɑ³¹ɡɹɑi⁵⁵ ‘큰 꼬리의 쥐’, tɑ³¹ni⁵⁵ ‘들쥐의 한 종류’, kɑ³¹xu⁵³ ‘검은 쥐’, kɑ³¹ɬɑ⁵⁵ ‘회색 쥐’, khɑ³¹ȵɯŋ⁵³ ‘작은 은서’……
  • 또한, 다랑어에 방향어가 비교적 풍부하다. 일반 언어에 있는 위, 아래, 외쪽, 오른쪽, 앞, 뒤 외에, 현지 산과 강의 위치에 따라 산세와 수원의 위쪽, 아래쪽과 수평쪽으로 나뉘고 각 방향에 근칭, 원칭, 경원칭으로 나뉜다.
diga1241 sunhongkai2007:607
산세, 수원의 위쪽 산세, 수원의 아래쪽 수평쪽
근칭 ɑ³¹tiu⁵⁵dɑ⁵⁵ ɑ³¹mɑ³⁵dɑ⁵⁵ aɕi³⁵dɑ⁵⁵
원칭 ɹuɑ⁵³tiu⁵⁵dɑ⁵⁵ ɹuɑ⁵³mɑ³⁵dɑ⁵⁵ ɹuɑ⁵³ɕi³⁵dɑ⁵⁵
경원칭 ɹuɑ⁵³tiu⁵⁵dʑim³¹ ɹuɑ⁵³mɑ³⁵dʑim³¹ ɹuɑ⁵³ɕi³⁵dʑim³¹
  • 다랑어에 상당수의 명사, 동사 동형어가 있다. 예컨대, ‘끈’과 ‘묶다’는 모두 kɑ³¹ɹui⁵⁵이고, ‘옷’과 ‘입다’는 모두 tin⁵³이며, ‘날개’과 ‘날다’는 모두 jim³⁵이고, ‘바람’과 ‘불다’는 모두 xɑ³¹ɹɯŋ⁵⁵이며, ‘경우’과 ‘밭을 갈다’는 모두 kɑ³¹liɑŋ⁵³이고, ‘꽃’과 ‘꽃이 피다’는 모두 tɑ³¹pɯ⁵⁵이며, ‘칼’과 ‘칼을 허리에 차다’는 모두 ta³¹ɹa⁵⁵이다.
  • 다랑어에 상당수의 명사, 동사 동형어가 있다. 예컨대, ‘끈’과 ‘묶다’는 모두 kɑ³¹ɹui⁵⁵이고, ‘옷’과 ‘입다’는 모두 tin⁵³이며, ‘날개’과 ‘날다’는 모두 jim³⁵이고, ‘바람’과 ‘불다’는 모두 xɑ³¹ɹɯŋ⁵⁵이며, ‘경우’과 ‘밭을 갈다’는 모두 kɑ³¹liɑŋ⁵³이고, ‘꽃’과 ‘꽃이 피다’는 모두 tɑ³¹pɯ⁵⁵이며, ‘칼’과 ‘칼을 허리에 차다’는 모두 ta³¹ɹa⁵⁵이다.
doc/darang/8_lexicology/81_voca/81_voca.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8 01:04 저자 마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