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구아어는 16개, 더욱 세부적으로는 약 70개의 방언으로 세분되며, 그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아쿠쉰스키, 굽덴스키, 카이탁스키, 쿠바친스키, 부이린스키, 우라힌스키, 시르긴스키, 추다하르스키 방언이 있다.
문법과 어휘 영역에서 대부분의 방언은 크케 아쿠쉰스키 방언계열(아쿠쉰스키, 우라힌스키, 굽덴스키 등)과 추다하르스키 방언계열(추다하르스키, 시르긴스키 카이탁스키, 쿠바친스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무긴스키, 갑쉬민스키, 무이린스키 류의 방언들은 형태소 및 어휘 측면에서는 아쿠쉰스키 방언계열과, 음성 측면에서는 추다하르스키 방언계열과 가깝다. 카다르스키, 메게프스키 방언은 음성적으로는 아쿠쉰스키 방언계열에 가깝지만 형태소 및 어휘적 측면에서는 좀 더 독립적인 특성을 많이 보인다(Musaev 2001:338).
다르구아어의 여러 방언들은 표준 다르구아어와의 관계가 다양한데, 그 중에서도 쿠바친스키, 카이탁스키, 이차린스키, 치락스키 방언은 표준 다르구아어와 차이가 커서 학자에 따라서는 독립적인 구분할 가능성도 있다(Musaev 2001a:357).
다르구아어의 표준어 기반은 1930년대에 와서야 아쿠쉰스키 방언을 중심으로 정의되기 시작하였으며 1960년대 다르구아 국립극장의 역할과 A. 아부-바카라 등의 문학작품의 인기를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다르구아인들은 중부 다게스탄 산악지역에 주로 거주하였는데, 1950-70년대 다르구아 산악인들의 일부가 평지로 이주하면서 카야켄트, 하사뷰르토프, 바바유르토프, 키즈랴르, 데르벤트 등의 지역에 다르구아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생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