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동태는 -rd에 의해 실현된다. 피동문에서 행위자를 나타내는 명사나 대명사는 여처격 표지와 결합한다.
| tər | nək | ujin-d | ori-rd-əər | gar-səŋ. |
| (S)he | one | girl-DATL | call-PASS-CVB | go.out-PST |
사동태는 -lgaa/-lgəə, -gaa/-gəə/-kaa/-kəə에 의해 실현된다. 사동주는 속격-대격, 여처격 혹은 어간 형식으로 나타난다.
| nək | udur | mais | xad-əər | tər-ii | aidugw | ʧaŋgəl-gaa-səŋ. |
| one | day | wheat | cut-CVB | (S)he-GEN | very | get.tired-CAUS-PST |
상호태는 -lʧ에 의해 실현된다. 주어 뒤에는 공동격과 결합한 명사가 문장의 보어 역할을 한다. xojir(둘), gwarəb(셋) 등과 같은 수사가 주어의 한정어 역할을 하거나 재귀대명사가 주어 역할을 한다.
| bii | tər | xuu-tii | ul | tani-lʧ-əŋ. |
| 1SG | that | person-COM | NEG | know-RECP-NPST |
동사의 시제 범주에는 6가지 표지가 있다. 네 가지는 단순형에 포함되고 두 가지는 복합형에 포함된다. 이들은 각각 과거 시제와 현재-미래 시제로 나누어진다.
| 단순형 | 복합형 | ||
|---|---|---|---|
| 자주 쓰이는 것 | (어떤) 조건 하에 쓰이는 것 | ||
| 과거 | səŋ | laa | ʤaa-səŋ |
| 현재-미래 | bəi | ŋ/əŋ | ʤaa-bəi |
문말어기사 -dəə 앞에 쓰인다.
문맥에 따라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지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지를 판단한다.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사 jee 혹은 불확신을 나타내는 어기사 goo 앞에, 부정사 ul 혹은 의문대명사 joo 뒤에 쓰인다.
| xaanə | iʧ-sən-inj | ul | məd-əŋ. |
| where | go-.PTCP.PST-3POSS | NEG | know-NPST |
부동사어미 -ʤ와 조동사 aa의 과거 시제형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ʤaabəi는 부동사어미 -ʤ와 조동사 aa의 현대-미래 시제형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대체로 1인칭과 2인칭 인칭대명사가 문자의 주어로 쓰일 경우 서술어의 시제 표지 뒤에 인칭표지가 결합하여 쓰일 수 있다.
청유형은 1인칭 단수와 1인칭 복수일 때 쓰이고 -jaa에 의해 실현된다.
2인칭 단수 명령형은 동사 어간으로 나타나고 2인칭 복수 명령형은 –too로 나타난다.
허락형은 -tgai에 의해 실현되는데 3인칭 단수와 복수에 쓰인다.
(敦促式)은 -gaanee/-gəənee에 의해 실현되는데 재촉하거나 못 참거나 귀찮을 때 쓰인다.
| min-ii | jau-səŋ | xwainaas-minj | ʃii | ədəəlen | jau-gaanee! |
| 1SG-GEN | go-PTCP.PST | after-1SG.POSS | you(SG) | after.a.while | g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