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daur:2_wordclass:27_num:27_num

27_num : 수사 (numeral)

기수사

기수사는 단순 수사와 합성 수사로 나누어진다. ‘3, 4, 5, 8, 9, 10, 20, 30, 40, 50, 60, 70, 80, 90, 천, 만’은 각각 n이 없는 것과 n이 있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단순 수사로 쓰일 때는 n이 없고 합성 수사 앞에 올 때는 n이 나타난다.

단순 수사

daur1238 zhongsuchun2006:277
  • nək : 일
  • xojir : 이
  • gwarəb; gwarbən : 삼
  • durub; durbun : 사
  • taaw; taawən : 오
  • ʤirgoo : 육
  • doloo : 칠
  • naim; naimən : 팔
  • jis; isən : 구
  • xarəb; xarbən : 십
  • xorj; xorin : 이십
  • goʧ; goʧin : 삼십
  • duʧ; duʧin : 사십
  • tabj; tabin : 오십
  • ʤar; ʤarin : 육십
  • dal; dalən : 칠십
  • naij; naijin : 팔십
  • jir; irən : 구십
  • ʤau : 백
  • mjaŋg; mjaŋgən : 천
  • tum; tumun : 만

합성 수사

daur1238 zhongsuchun2006:277
  • xarbən nək : 십일
  • xarbən jis : 십구
  • goʧin nək : 삼십일
  • irən nək : 구십일
  • xarbən tum : 십만
  • ʤau tum : 백만
  • mjaŋgan tum : 천만

서수사

서수사는 n이 없는 기수사에 ‘-daar/-dəər’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daur1238 zhongsuchun2006:277
  • nək-dəər : 첫번째
  • xojir-daar : 두 번째
  • xarəb-daar : 열 번째
  • xori-daar : 스무 번째

집합수사

집합수사는 n이 없는 기수사에 ‘-ool/-əəl’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daur1238 zhongsuchun2006:278
  • gwarb-ool : 셋이(서)
  • durb-əəl : 넷이(서)
  • taaw-ool : 다섯이(서)

한정수사

한정수사는 n이 없는 기수사에 ‘-kəŋ’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daur1238 zhongsuchun2006:278
  • xəd-kəŋ : 몇 개만
  • goʧ-kəŋ : 삼십 개만
  • duʧ-kəŋ : 사십 개만

개수사

개수사는 10 이상의 기수사 뒤에 ‘ʃakəŋ(가까이)’, ‘xuluu(넘는)’, ‘xəd(몇)’이 쓰여 표현된다. ‘ʃakəŋ’과 ‘xuluu’는 n이 없는 기수사를 선택하고 ‘xəd’는 n이 있는 기수사를 선택한다.

daur1238 zhongsuchun2006:278
  • xarab ʃakəŋ : 십 가까이
  • gwaʧ xuluu : 삼십 넘는
  • xorin xəd : 이십 여 (개)
  • tabin xəd : 오십 여 (개)

분수사

분모는 n이 있는 기수사를 사용하고 분자는 n이 없는 기수사를 사용하며 그 뒤에 다시 3인칭 소유인칭표지 ‘-inj’가 결합된다. 분모와 분자 사이에 ‘obəi(분)’이 쓰인다.

daur1238 zhongsuchun2006:278
  • gwarbən obəi nəkinj : 삼 분의 일
  • isən obəi taawinj : 구 분의 오
  • xarbən obəi xojirinj : 십 분의 이
  • ʤarin obəi gwarbinj : 육십 분의 삼
doc/daur/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4 11:56 저자 ka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