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사는 단순 수사와 합성 수사로 나누어진다. ‘3, 4, 5, 8, 9, 10, 20, 30, 40, 50, 60, 70, 80, 90, 천, 만’은 각각 n이 없는 것과 n이 있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단순 수사로 쓰일 때는 n이 없고 합성 수사 앞에 올 때는 n이 나타난다.
서수사는 n이 없는 기수사에 ‘-daar/-dəər’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집합수사는 n이 없는 기수사에 ‘-ool/-əəl’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한정수사는 n이 없는 기수사에 ‘-kəŋ’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개수사는 10 이상의 기수사 뒤에 ‘ʃakəŋ(가까이)’, ‘xuluu(넘는)’, ‘xəd(몇)’이 쓰여 표현된다. ‘ʃakəŋ’과 ‘xuluu’는 n이 없는 기수사를 선택하고 ‘xəd’는 n이 있는 기수사를 선택한다.
분모는 n이 있는 기수사를 사용하고 분자는 n이 없는 기수사를 사용하며 그 뒤에 다시 3인칭 소유인칭표지 ‘-inj’가 결합된다. 분모와 분자 사이에 ‘obəi(분)’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