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동태는 -rd에 의해 실현된다. 피동문에서 행위자를 나타내는 명사나 대명사는 여처격 표지와 결합한다.
tər | nək | ujin-d | ori-rd-əər | gar-səŋ. |
(S)he | one | girl-DATL | call-PASS-CVB | go.out-PST |
사동태는 -lgaa/-lgəə, -gaa/-gəə/-kaa/-kəə에 의해 실현된다. 사동주는 속격-대격, 여처격 혹은 어간 형식으로 나타난다.
nək | udur | mais | xad-əər | tər-ii | aidugw | ʧaŋgəl-gaa-səŋ. |
one | day | wheat | cut-CVB | (S)he-GEN | very | get.tired-CAUS-PST |
상호태는 -lʧ에 의해 실현된다. 주어 뒤에는 공동격과 결합한 명사가 문장의 보어 역할을 한다. xojir(둘), gwarəb(셋) 등과 같은 수사가 주어의 한정어 역할을 하거나 재귀대명사가 주어 역할을 한다.
bii | tər | xuu-tii | ul | tani-lʧ-əŋ. |
1SG | that | person-COM | NEG | know-RECP-NP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