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enets: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모음조화

모음조화가 과거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지나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다고 보는 견해와(1999:10) 빈번하지는 않지만 주로 а나 о에서 나타나고 다른 모음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1966:441)는 견해가 있다.

fore1265 Tereshchenko1966:441
  • уза : 손 & узахан(э) : 손에, 손으로
  • дёто : 거위 & детохон(э) : 거위로
  • пэ : 나무 & пехон(э) : 나무로

자음군 단순화

자음군단순화: «비음 + 폐쇄음» > 비음은 탈락하고 폐쇄음은 유성음화된다: нт>д, мп>д (б아니고 д?)등. 자음군 단순화 현상의 결과 마두방언에서는 열린음절 및 2, 3개 이상의 모음군의 출현으로 이어진다(예 없음, 2005:473).

자음교체

자음교체에 대해서는 Tereshchenko(1966)만 언급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Tereshchenko에 열거되어있는 자음교체의 예는 후두음과 비후두음 사이의 교체를 보여주고 있는데, 다른 연구서에서는 후두음의 구분이 Tereshchenko에 비해 자세하지 않기 때문이다. Tereshchenko는 비음화된 후두음(ʼ)과 비음(н, ӈ, й, м, в, р), 비음화되지 않음 후두음(ʼʼ)과 비음이 아닌 자음(з, с) 사이의 교체를 예로 들고 있다. 자세한 예는 Tereshchenko(1966:441)을 참조하라.

모음교체

모음교체는 주로 어간에 나타나며 a/u, a/o, a/i, o/e, o/u, ʼ/z, ʼ/n, ʼ/r 등과 같은 예가 있다.

fore1265 Kunnap1999:11
  • lata : 판(board) + -na-ˀ : 1PL-PL → latu-na-ˀ : 우리의 판들
  • mat- : cut + -a : 1SG>SG → mata : I cut something (sg)
  • mat- : cut + -in : 1SG>PL → motin : I cut something (pl)
  • kasa : 동무 + -na-ˀ : 1PL-PL → kasi-na-ˀ : 우리의 동무들

기타 음운과정

  • 단어의 중간이나 특히 마지막에 오는 모음은 일부 또는 완전히 약화된다.
  • 전모음 i나 e 앞에서 자음은 어느 정도 구개음화된다.
  • 어간의 마지막 소리가 a, o, ˀ인 명사가 복수 주격, 속격, 대격으로 활용될 때 해당 모음이 상승되기도 한다.
fore1265 Kunnap1999:15
  • kasa : man + -na-ˀ : 1PL-PL → kasi-na-ˀ : 우리의 남자들
  • d’ogo : trap + -na-ˀ : 1PL-PL → d’ogu-na-ˀ : 우리의 덫들
  • biˀ : water + -na-ˀ : 1PL-PL → bizo-na-ˀ : 우리의 물들
doc/enets/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21 19:50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