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네츠어 문장 내에서 명사는 문법적인 수(단수, 쌍수, 복수), 인칭(1, 2, 3인칭), 격(7격), 시제(2시제)에 따라 활용되며 성의 구분은 없다.
명사 격어미 활용법에는 3가지(비-소유(main), 소유(possessive) 및 원망(desiderative)이 있다. 비-소유 활용에는 7격이 구분되는 반면 원망활용(desiderative declension)에서는 주격, 대격, 원망격의 3격만 나타난다.
주격(기본격), 소유격, 대격, 여-향격(lative/ дательно-направительный, dative-directional), 전치-도구격(местно-творительный), 탈격(отложительный), 연격(prolative/ продольный)의 7개 격 의미는 명사, 형용사, 대명사 및 명사화 된 동사에 격어미를 붙여서 나타낸다.
| 단수 | 복수 | |||
| 그룹 1 | 그룹 2 | 그룹 1 | 그룹 2 | |
| 주격 | -ʼ | -ʼ | -ʼ | |
| 소유격 | -ʼ | -ʼ | -ʼ | -ʼ |
| 대격 | ||||
| 여-향격 | -д | -д/т | -хыз | -гыз/кыз |
| -d | -d/t | -xyz | -gyz/kyz | |
| 전치-도구격 | -хVн(э) | -гон(э)/кон(э) | -хын(э) | -гын(э)/кын(э) |
| -xVn(e) | -gon(e)/kon(e) | -xyn(e) | -gyn(e)/kyn(e) | |
| 탈격 | -хVз | -гоз/коз (-гыз/кыз: 1999) | -хыт | -гыт/кыт |
| -xVz | -goz/koz (-gyz/kyz: 1999) | -xyt | -gyt/kyt | |
| 연격 | -он(э) | -тон(э) | -ын(э)/он(э) | -ын(э)/он(э) |
| -on(e) | -ton(e) | -yn(e)/on(e) | -yn(e)/on(e) |
<에네츠어 격어미 표: V는 모음을 의미>
명사는 어근의 마지막 소리에 따라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다. 제1그룹은 마지막 소리가 후두 파열음이 아닌 명사; 제2그룹은 마지막 소리가 후두 파열음인 명사이다. 명사의 그룹에 따라 명사 활용어미의 첫 소리가 달라지는데, 특히 전치-도구격, 탈격, 연격 어미의 첫 소리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1966은 위의 격변화 표에서 클래스 2에 해당하는 어미를 각각 두 가지 하위 클래스로 세분하고 있는데 즉, 비음화된 후두음(ʼ)으로 끝나는 것은 제1 하위 클래스, 비음화되지 않은 후두음(ʼʼ)으로 끝나는 것은 제 2하위 클래스에 속한다(1966:442). 위의 격어미 표는 (1966:442)를 중심으로 수정한 것으로, 1966에만 등장하는 명사그룹 2의 세부 클래스 구분을 없애고 1999 및 2005와 비교하여 어미를 통합 정리하였다.
격어미는 위의 표와 같이 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위의 표에 없는 쌍수는 접미사 -хыʼ/гыʼ/кыʼ(–hyʼ/gyʼ/kyʼ)가 어형변화 없이 쓰이고 그 뒤에 후치사(주로 нэ-(ne-) 형태)를 덧붙여 표지한다.
명사의 복수 활용에서는 강세의 이동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단어 어간의 마지막 소리가 a,o, ʼ인 경우 복수 속격과 대격에서는 해당 모음이 상승할 수 있다(a>i, o>u) (1999:14).
대격은 별도의 격어미가 없이 한정된 목적어는 주격형태, 비한정 목적어는 속격 형태의 어미를 취한다.
2005에서는 에네츠어의 격을 위의 7격 대신 6개로 구분하고 있다. 즉, 위의 표에서 격어미 표지가 형태소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속격과 대격은 격 체계에서 제외시키고, 대신 기존에 원망법 패러다임(desiderative paradigm)으로 인식되어오던 –z(V) 어미를 수혜-부분격 частично-назначительный/ бенефактив-партитив (partially-appointing/ benefactive-partitive))라는 이름으로 격에 포함시켰다. 이 연구에 따르면, 기존에 원망법 표지로 인식되던 이 어미의 포먼트가 다른 인칭-소유 패러다임의 포먼트와 차이가 없으며, 어근과의 상대적 위치도 기타 다른 격어미와 동일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 격어미 패러다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2005:474).
한편, 1999에서는 제 8의 격으로 변성격(translative case)을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변성격의 어미는 –Vs로서, 변성격이 지니는 추가적인 의미 중 하나는 자격(재격(在格), essive)의 의미이다.
장소의 표현은 처소를 나타내는 3가지격 즉, 방향격(어디로?), 처-도구격(어디에서?), 탈격(어디로부터?)에 따라 명사에 접미사를 쓰며 보조적으로 연격(어디를 따라/통해서?)으로도 표현 가능하다. 부사 및 후치사도 사용한다.
소유 접사는 명사 단어형태에서 마지막 자리에 오며, 의미상 러시아의 소유 대명사의 용법과 일치한다. 소유접사에는 소유주의 인칭(1, 2, 3)과 수(단수, 쌍수, 복수), 소유대상의 수(단수, 쌍수&복수는 동일)이 표현된다. 소유대상의 수에 따라 대상이 1개일 경우에는 주격, 속격, 대격; 2개 이상일 때는 주격-대격 및 속격에 대해 소유활용 접미사가 구분된다. 처소를 표현하는 격들은 속격의 소유활용 접미사를 쓰는 반면, 여-방향격에서는 일반적인 여-방향격 접미사인 –d/t 대신 삽입사 –hV-/-go-/-ko-가 쓰인다.
| 단수 | 쌍수 | 복수 | ||
| 주격 | 1인칭 | -b', -j | -bi('), -j(') | -ba', -a' |
| 2인칭 | -r | -ri(') | -ra' | |
| 3인칭 | -za | -zi(') | -zu' | |
| 속격 | 1인칭 | -n(ʹ) | -n' | -na' |
| 2인칭 | -d | -di(') | -da' | |
| 3인칭 | -da | -di(') | -du' | |
| 대격 | 1인칭 | -bʹ, -j | -b', -j' | -ba', -a' |
| 2인칭 | -d | -di' | -da' | |
| 3인칭 | -da | -di' | -du' |
| 단수 | 쌍수 | 복수 | ||
| 주격-대격 | 1인칭 | -n(ʹ) | -n(ʹ 또는 ʼ) | -na' |
| 2인칭 | -z | -zi(') | -za' | |
| 3인칭 | -za | -zi(') | -zu' | |
| 속격 | 1인칭 | -n(ʹ) | -n(ʹ 또는 ʼ) | -na' |
| 2인칭 | -t | -ti(') | -ta' | |
| 3인칭 | -ta | -ti(') | -tu' |
위의 소유활용 표는 (1999:15)와 (2005:474)와 비교하여 통합하였으며, 두 문서에서 마지막 ʹ, ʼ의 표기에 차이가 있다. 2005에는 위의 속격을 사격으로 표현했는데, 이에 따르면 이 속격(사격)어미는 기능이 많아서 모든 처소관련의미에 독립적으로 또는 후치사와 함께 쓰인다.
소유주로 쓰인 명사가 직접격과 사격에서 어간이 다른 경우에 소유 활용은 사격어간을 취한다.
가족관계를 나타내는 명사의 경우 어간과 소유어미 사이에 -ni- 또는 -di-가 삽입된다.
| me-ko-daʼ | okka | enco | cuaʼ |
| tent-POSS-LAT.1PL | many | people.ACC | enter.PST.3PL |
원망활용에는 3가지 형태(주격, 속격, 원망격)만 있으며 ‘어떤 사람/사물에 할당된(속한) 것’의 의미를 나타낸다. 원망활용은 소유활용 접미사 앞에 –zV-/-dV-/-tV를 더하여 나타낸다.
| te-zo-j | toa |
| reindeer-DESI.NOM-POSS.NOM.1SG | come.PST.3SG |
| te-zo-n | bunek | ponŋazʼ |
| reindeer-DESI.DESI-POSS.GEN.1SG | dog | keep.PRS.1SG |
에네츠어는 동사 뿐만 아니라 명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 , 분사 및 명사화 된 동사도 현재 뿐만 아니라 드물지만 과거시제로 활용할 수 있다(Künnap 1999:29-30)
| 단수 | 쌍수 | 복수 | |
| 1인칭 | mod' esez' 나는 아빠다 | modi' esej' 우리 둘은 아빠다 | modina' ese' 우리는 아빠다 |
| 2인칭 | u esed 너는 아빠다 | udi' eseri' 너희 둘은 아빠다 | uda' esera' 너희는 아빠다 |
| 3인칭 | bu ese 그는 아빠다 | budi' esehi' 그들 둘은 아빠다 | budu' ese' 그들은 아빠다 |
<표: 현재시제 활용 예(Künnap 1999:29)>
| 단수 | 쌍수 | 복수 | |
| 1인칭 | modʹ esezodʹ 나는 아빠였다 | modin esebidʹ 우리 둘은 아빠였다 | modina esebatʹ 우리는 아빠였다 |
| 2인칭 | u esedos 너는 아빠였다 | udi eseridʹ 너희 둘은 아빠였다 | uda eseratʹ 너희는 아빠였다 |
| 3인칭 | bu eses 그는 아빠였다 | budiʼ esbatʹ 그들 둘은 아빠였다 | buduʼ esetʹ 그들은 아빠였다 |
<표: 과거시제 활용 예(Künnap 1999:2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