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enets:2_wordclass:22_noun:22_noun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22_noun : 명사 (noun)

에네츠어 문장 내에서 명사는 문법적인 수(단수, 쌍수, 복수), 인칭(1, 2, 3인칭), 격(7격), 시제(2시제)에 따라 활용되며 성의 구분은 없다.

noun_declension : 곡용부류류 (declension class)

명사 격어미 활용법에는 3가지(비-소유(main), 소유(possessive) 및 원망(desiderative))가 있다. 비-소유 활용에는 7격이 구분되는 반면 원망활용(desiderative declension)에서는 주격, 대격, 원망격의 3격만 나타난다.

비-소유 활용

주격(기본격), 소유격, 대격, 여-향격(lative/ дательно-направительный, dative-directional), 전치-도구격(местно-творительный), 탈격(отложительный), 연격(prolative/ продольный)의 7개 격 의미는 명사, 형용사, 대명사 및 명사화 된 동사에 격어미를 붙여서 나타낸다.

단수 복수
그룹 1그룹 2그룹 1그룹 2
주격
소유격
대격
여-향격 -д/т -хыз -гыз/кыз
-d -d/t -xyz -gyz/kyz
전치-도구격 -хVн(э) -гон(э)/кон(э) -хын(э)-гын(э)/кын(э)
-xVn(e)-gon(e)/kon(e)-xyn(e)-gyn(e)/kyn(e)
탈격 -хVз-гоз/коз (-гыз/кыз: 1999) -хыт -гыт/кыт
-xVz-goz/koz (-gyz/kyz: 1999)-xyt-gyt/kyt
연격 -он(э)-тон(э)-ын(э)/он(э)-ын(э)/он(э)
-on(e)-ton(e)-yn(e)/on(e)-yn(e)/on(e)

<에네츠어 격어미 표: V는 모음을 의미>

명사는 어근의 마지막 소리에 따라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다. 제1그룹은 마지막 소리가 후두 파열음이 아닌 명사; 제2그룹은 마지막 소리가 후두 파열음인 명사이다. 명사의 그룹에 따라 명사 활용어미의 첫 소리가 달라지는데, 특히 전치-도국격, 탈격, 연격 어미의 첫 소리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1966은 위의 격변화 표에서 클래스 2에 해당하는 어미를 각각 두 가지 하위 클래스로 세분하고 있는데 즉, 비음화된 후두음(ʼ)으로 끝나는 것은 제1 하위 클래스, 비음화되지 않은 후두음(ʼʼ)으로 끝나는 것은 제 2하위 클래스에 속한다(1966:442). 위의 격어미 표는 (1966:442)를 중심으로 수정한 것으로, 1966에만 등장하는 명사그룹 2의 세부 클래스 구분을 없애고 1999 및 2005와 비교하여 어미를 통합 정리하였다.

격어미는 위의 표와 같이 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위의 표에 없는 쌍수는 접미사 -хыʼ/гыʼ/кыʼ(–hyʼ/gyʼ/kyʼ)가 어형변화 없이 쓰이고 그 뒤에 후치사(주로 нэ-(ne-) 형태)를 덧붙여 표지한다.

(작성중)

doc/enets/2_wordclass/22_noun/22_noun.145673293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2/29 17:02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