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enets:2_wordclass:27_num:27_num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27_num : 수사 (numeral)

기수

fore1265 1999:19
1ŋoʼ
2size
3 nehuʼ

오늘날 에네츠인은 십진법을 사용하지만 10까지의 기수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2005:475). 1999와 2005의 기수 표기 방식에도 유사하긴 하지만 상당한 차이가 있다(특히 ‘5’를 2005에서는 собрик으로 표기).

2005에 따르면 '1'은 동일한 어근을 갖는 3가지 형태 ӈолю, ӈо, ӈоб 가 가능하며, 여기에 접사가 붙어서 부사화 되어 이미 다른 의미를 지니는 부사가 된 것도 있다.

fore1265 2005:475
ӈобкун'어느날',ӈод'함께'

size(2)의 경우에는 뒤 따르는 명사가 쌍수로 표지될 수 있으며(1999:36), 그 외의 수사에 따른 명사와의 일치는 없다(1999:19).

서수

서수는 첫 번째, 두 번째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기수에 접미사 –de를 덧붙인 형태이다.

fore1265 1999:19
1orzede(2005에는орзей)
2nekujde(2005에는нэкую)
3 nehode

분배수사

두 가지 방식이 있다

fore1265 2005:475
기수+단어лоз:сизилоз'2개씩'
기수+접미사–он:сизи-он'2개씩'

## 집합수사 기수 + 동사 эҫь 'be'를 결합하여 만든다. 두 단어가 함께 쓰이는 것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나의 단어처럼 인식되었는데 여전히 서로 별개의 단어처럼 인식되는 경우에는 동사 эҫь의 э가 수사 어미의 마지막 모음과 동화된다.

fore1265 2005:475
Ӈолюуҫь혼자서
Собригооҫь다섯이서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모음이 약화되어서 한 단어처럼 인식된다.

fore1265 2005:475
Сизиҫь둘이서

근사수사(대략수사?)

기수 + 단위, 양를 뜻하는 단어 또는 접미사

fore1265 2005:475
тер'용량',пир'약,대략',бо'부분'
}}}

마지막 부정수사는 왜 예시 표 안으로 들어가죠..?^^;

doc/enets/2_wordclass/27_num/27_num.145707621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3/04 16:23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