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에네츠인은 십진법을 사용하지만 10까지의 기수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2005:475). 1999와 2005의 기수 표기 방식에도 유사하긴 하지만 상당한 차이가 있다(특히 ‘5’를 2005에서는 собрик으로 표기).
2005에 따르면 '1'은 동일한 어근을 갖는 3가지 형태 ӈолю, ӈо, ӈоб 가 가능하며, 여기에 접사가 붙어서 부사화 되어 이미 다른 의미를 지니는 부사가 된 것도 있다.
size(2)의 경우에는 뒤 따르는 명사가 쌍수로 표지될 수 있으며(1999:36), 그 외의 수사에 따른 명사와의 일치는 없다(1999:19).
서수는 첫 번째, 두 번째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기수에 접미사 –de를 덧붙인 형태이다.
두 가지 방식이 있다
## 집합수사 기수 + 동사 эҫь 'be'를 결합하여 만든다. 두 단어가 함께 쓰이는 것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나의 단어처럼 인식되었는데 여전히 서로 별개의 단어처럼 인식되는 경우에는 동사 эҫь의 э가 수사 어미의 마지막 모음과 동화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모음이 약화되어서 한 단어처럼 인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