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칭대명사의 활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각 인칭과 수에 따른 주격 대명사이고 이어서 이어지는 두 번째 부분은 독립 어간 si- 또는 접미사 어간 no-중의 하나이다. 인칭대명사를 활용할 때 첫 번째 부분은 생략 가능하다
| modʼ | kamzju | dʼohoʼ | barhon | ŋa |
| PN.1SG.GEN | house.POSS.1SG | river.GEN | bank.LOC | BE.PST.3Sg |
한편, 마두방언에서는 인칭대명사의 형태가 바이방언과 다르다. 1인칭 인칭대명사가 공통사모예드어 어원을 따른다면; 바이방언의 2, 3인칭 인칭대명사는 케트어로부터 차용, 마두방언 2인칭은 응가나산, 셀쿱어와 일치(즉, 공통 사모예드); 마두어 3인칭은 다른 사모예드어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형태이다.
인칭대명사는 사실상 활용형이 없는 대신 2가지 어간을 지닌다: 직접격 어간(модь (modʹ) '나', у (u) '너', бу (bu) '그')과 사격어간(си (si)). 사격 어간은 속격(사격) 및 대격 접사와 결합하는데, 1인칭 인칭대명사의 경우에만 대격과 기타 사격의 형태가 다르다.
인칭대명사의 직접격 어간 및 사격 어간(Sorokina2005:476)
| 1인칭 | модь (modʹ) '나' | си-нь (si-nʹ)'나의' | си-й (si-j) '나를' |
| 2인칭 | у (u) '너' | си-т (si-t)'너의, 너를' | |
| 3인칭 | бу(bu) '그(녀)' | си-та (si-ta)'그(녀)의, 그(녀)를' | |
처소와 관련한 격에서 인칭대명사는 후치사 нэ /но (ne, no))와 함께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