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주가 소유하는 소유물을 나타낼 때 소유주에 속격뿐만 아니라 소유물에 소유인칭표지가 결합되어야 한다. 즉 ‘NP-GEN NP-POSS’처럼 double marking 구성으로 쓰인다. 인칭대명사, 사람 이름, 일반 명사가 소유주가 될 수 있다. 청자가 소유주(‘인칭대명사+ -ni’의 경우)를 아는 경우에는 ‘NP-GEN’이 생략할 수 있다.
| PERS | SG | PL |
|---|---|---|
| 1.EXCL | -wi/-bi; -waya ~ -wəyə ~ -wɔyɔ; -baya ~ -bəyə ~ -bɔyɔ | -mon ~ -mun |
| 1.INCL | -ti ~ -tti | |
| 2 | -si/-ci | -son ~ sun/-con ~ -cun |
| 3 | -nin; -ni/-n | -nin; -ni/-n |
| Mandi-ni | addi-nin | Xoi-ni | bəi. |
| Mandi-GEN | grandmother-3POSS | Hoi-GEN | person |
| amixan-se-ni | xoni-sal-nin | aldoo-saa-ø. |
| uncle-ASS.PL-GEN | sheep-PL-3POSS | disappear-PST-3 |
재귀소유인칭표지는 단수와 복수로 나누어지고 명사 뒤에 결합하여 쓰인다. 주어가 단수이면 단수 재귀소유인칭표지가 쓰이고 주어가 복수이면 복수 재귀소유인칭표지가 쓰인다.
| SG | -wi/-bi |
| PL | -wal/-wəl-wɔl ~ -bal/-bəl/-bɔl |
첨가적 복수(additive plural) 표지는 ‘-sal ~ -səl ~ -sɔl’에 의해 실현된다. 유정물과 무정물의 구별없이 가산 명사와 결합할 수 있지만 ‘muu(물)’과 같은 불가산 명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연합 복수(associative plural) 표지는 ‘-sen’에 의해 실현된다. 사람 이름 혹은 친족용어 뒤에 결합하여 화자와 청자를 제외한 제3자들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네’와 중국어의 ‘爸爸他们’, ‘妈妈她们’의 ‘他们/她们’에 해당한다.
주격 표지가 없다.
속격 표지 ‘-ni’는 사람과 사물 간의 소유관계를 나타낸다.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ni’가 오면 ‘n’이 탈락된다.
인칭대명사나 소유주에 속격 ‘-ni’가 결합할 뿐만 아니라 뒤에 오는 소유물에 다시 소유인칭표지가 결합하여 쓰인다.
| mi-ni | nuxun-bi | jaan | baacci-si. |
| 1SG-GEN | younger.brother/sister-1SG.POSS | ten | years-have |
| su-ni | nuxun-cun | tullə | bi-ji-rən. |
| 2PL-GEN | younger.brother/sister-2PL.POSS | outside | be-PROG-3 |
속격 표지 ‘-ni’ 뒤에 소유인칭표지가 결합하여 쓰이기도 한다.
| si-ni | ada-ni-si | əkki-nin | xeeta-saa-ø. |
| 2SG-GEN | elder.sister-GEN-2SG.POSS | pants-3POSS | get.dirty-PST-3 |
‘NP-GEN’ 그 자체로 서술어로 쓰일 수 있다.
(한정) 대격 표지 ‘-wa ~ -wə ~ -wɔ; -ba ~ -bə ~ -bɔ’는 지칭 대상이 한정적인 경우에 쓰이고 지시대명사 ‘ər(이)/tar(그; 저)’와 어울려 쓰이기도 한다. ‘이 N을 V하다’처럼 지시대명사와 같이 쓰일 수 있다.
부정대격은 ‘-i’와 ‘-a, -ə, -ɔ’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지칭 대상이 한정적/특정적이지 않은 경우에 쓰인다. 대격과는 달리 지시대명사와 어울려 쓰이지 못한다.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i’가 생략된다.
명사 부정의 ‘aasin(없다)’의 경우 부정대격과 쓰인다.
조격 표지는 ‘-ji’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행위의 재료, 도구, 수단’의 의미와 ‘공동’의 의미로 쓰인다. 그 외에 ‘나이 차이’, ‘배분적인 의미’, ‘모양으로’, ‘마음대로’, 그리고 일부 형용사와 결합하여 부사를 만들 수도 있다.
수사나 형용사와 결합하여 배분적인 의미로 쓰인다. 한국어의 ‘-씩’에 해당한다.
| tar-ni | ənuxu-nin | xɔndɔ | xɔndɔ-ji | ai | ɔɔ-ji-rɔn. |
| (S)he-GEN | disease-3POSS | little | little-INS | good | become-PROG-3 |
주어가 유정물인 경우 ‘-ji’ 뒤에 재귀소유인칭표지 중의 복수형 ‘-wal ~ -wəl ~ -wɔl; -bal ~ -bəl ~ -bɔl’이 결합된다.
| bi | tar | onta-wa | ai-ji | titə-suu. |
| 1SG | that | shoes-ACC | good-INS | put.on-PST.1SG |
여처격 조사는 ‘-do ~ -du’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명사나 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와 결합하여 구체적인 ‘-에; -에서’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 Mandi-ni | elan | urəl-nin | sorgol-do | ul-ji-rən. |
| Mandi-GEN | three | child-3POSS | school-DATL | go(from.here)-PROG-3 |
| timaasin | əddə | jaan | sag-do | əmə-xə. |
| tomorrow | morning | ten | hour/watch-DATL | come-2SG.IMP |
| aba | min-du | baran | bitəgə-i | ga-m | boo-saa-ø. |
| father | 1SG-DATL | many | book-INACC | buy-CVB | give-PST-3 |
‘-la ~ -lə ~ -lɔ; -dola ~ -dulə ~ -dolɔ’는 처소를 나타내는 명사나 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 뒤에 결합하여 구체적이지 않은 ‘쪽에; 주변에’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친족용어나 인칭대명사 뒤에 쓰일 때는 ‘-네 집’, ‘-에게’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 bi | əsi | addi-la | nin-ji-mi. |
| 1SG | now | grandmother-DIR | go(to.destination)-PROG-1SG |
탈격은 ‘-txi’에 의해 실현된다. 주로 동작행위의 출발점, 장소, 시간 등의 의미를 표현한다. 그 외에 도착점을 나타내기도 하고 비교격 용법과 부분격 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 aba | timaasin | Xoi-txi | əmə-ggii-rən. |
| father | tomorrow | Hoi-ABL | come-back-3 |
부정방향격은 ‘-txaaxi ~ -txəəxi ~ -txɔɔxi’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명확하지 않은 방향을 향해 갈 때 쓰이는 것이다. 즉 행위주가 향해 가는 곳은 목적지가 아닐 수도 있을 때 쓰인다. 한국어의 ‘-을 향해; -쪽으로; -(으)로’에 해당한다.
방위탈격은 ‘-laxi ~ -ləxi ~ -lɔxi; -dolaxi ~ -duləxi ~ -dolɔxi’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방위격의 ‘-la ~ -lə ~ -lɔ; -dola ~ -dulə ~ -dolɔ’ 뒤에 탈격 표지 ‘-txi’의 ‘-xi’가 결합된 것인 듯하다. 명사뿐만 아니라 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 재귀대명사와 결합하여 구체적이지 않은 ‘쪽에서(부터)’라는 의미를 표현한다.
방면탈격 ‘-giji/-ggiji’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동작행위의 시작점/출발점임을 나타내는 표지이고 처소명사, 대명사, 방위사와 결합하여 쓰인다. 그러나 시간 명사와 친족용어 뒤에는 쓰일 수 없다.
| Mandi | juu-ggiji-wi(>juu-ggiji) | sorgol-do | ul-ji-rən. |
| Mandi | home-from-SG.REFL | school-DATL | go(from.here)-PROG-3 |
| timaasin | som-giji | adi | bəi | əmə-rən | gunə-n. |
| tomorrow | village-from | how.many | person | come-3 | say-3 |
경로격 조사는 ‘-li; -doli ~ -duli’에 의해 실현된다. ‘-을 통과해서’와 ‘-을 따라’라는 의미 외에 ‘-쯤’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 Mandi | juu-ni | anoxo-wi | əmi | baxa-ra | sɔŋkɔ-li | ii-səə-ø. |
| Mandi | home-GEN | key-SG.REFL | NEG | find-PTCP.NPST | window-PROL | come.in-PST-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