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RS | PRON | NPST | PST | 
|---|---|---|---|
| 1SG | bi | -mi | -suu/-cuu | 
| 1PL.EXCL | bu | -mon | -saa-mon | 
| 1PL.INCL | miti | -tti | -saa-tti | 
| 2SG | si | -ndi | -saa-si | 
| 2PL | su | -son/con | -saa-son | 
| 3SG/PL | tar/taccil | -ran/-an | -saa-ø | 
3인칭은 단수와 복수의 구별없이 ‘-ran/-rən/-rɔn; -an/-ən/-ɔn’에 의해 실현된다. 과거시제 표지인 ‘-saa/-səə/-sɔɔ’는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근 뒤에 결합되고 ‘-caa/-cəə/-cɔɔ’는 자음이나 비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근 뒤에 결합된다.
평서문을 제외한 명령문, 청유문, 허락문, 약속문 어미들은 용법상 각각 인칭 제한이 있기 때문에 다음 표와 같이 인칭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PERS | SG | PL | 
|---|---|---|
| 1.EXCL | bi V-gadi | bu V-gadi-mon | 
| 1.INCL | miti V-gari | |
| 2 | si V-xa | su V-xaldon | 
| 3 | tar V-gini | taccil V-gini | 
평서문은 특별한 종결어미가 없고 수와 인칭에 의해 분화된다. (동사의 시제 체계와 인칭표지 참조)
어웡키어의 명령문은 2인칭 단수일 경우에는 명령형 어미 ‘-ka ~ -kə; -xa ~ -xə ~ -xɔ’가 쓰이고, 2인칭 복수일 경우에는 ‘-ka ~ -kə; -xa ~ -xə ~ -xɔ’ 뒤에 인칭표지 ‘-ldon ~ -ldun’이 결합된 ‘-kaldon ~ -kəldun; -xaldon ~ -xəldun ~ -xɔldon’이 쓰인다.
| 2SG | -ka ~ -kə; -xa ~ -xə ~ -xɔ | 
| 2PL | -kaldon ~ -kəldun; -xaldon ~ -xəldun ~ -xɔldon | 
| PERS | SG | PL | 
|---|---|---|
| 1.EXCL | - | bu V-daa-mon | 
| 1.INCL | miti V-daa-wal | |
| 2 | si V-daa-wi | su V-daa-son | 
| 3 | tar V-daa-ni | taccil V-daa-ni | 
청유형 어미에는 ‘-gari ~ -gəri ~ -gɔri’가 있는데 이는 1인칭 복수 청자 포함형인 ‘miti’와만 쓰인다.
| 1PL.INCL | miti | -gari ~ -gəri ~ -gɔri | 
허락문 어미로는 ‘-gini’를 들 수 있는데 이는 3인칭 단수와 복수일 경우에 쓰일 수 있다.
| 3SG/PL | -gini | 
약소문 어미로는 ‘-gadi ~ -gədi ~ -gɔdi’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화자가 어떤 행위나 행동을 하려는 의향의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1인칭 단수일 경우에 ‘-gadi’가 쓰이고 1인칭 복수 청자 배제형의 ‘bu’일 경우에 ‘-gadi’ 뒤에 인칭표지 ‘-mon’이 결합된다.
| 1SG | bi | -gadi ~ -gədi ~ -gɔdi | 
| 1PL.EXCL | bu | -gadi-mon ~ -gədi-mun ~ -gɔdi-mon | 
동명사어미에는 미완료의 ‘-r; -ra ~ -rə ~ -rɔ’와 완료의 ‘-saa ~ -səə ~ -sɔɔ; -caa ~ -cəə ~ -cɔɔ' 두 가지가 있다. 이 어미들은 주로 관형절과 명사절을 구성하는 데에 쓰인다. 명사절에 쓰일 때에는 격조사, 소유인칭표지, 재귀소유인칭표지가 결합되어 쓰인다.
| əttu | ɔɔ-r-txi | untə | agga-i | aasin. | 
| like.this | do-PTCP.NPST-ABL | other | way-INACC | no | 
| nuuttə-wi | ogga-r-nin | odan. | 
| hair-1SG.POSS | grow-PTCP.NPST-3POSS | slow | 
| bi | ada-ni-wi | jit-cəə-wə-n | arakkaa-suu. | 
| 1SG | elder.sister-GEN-SG.REFL | eat-PTCP.PST-ACC-3POSS | clean-PST.1SG | 
| bi | si-ni | xəəmə-i | ɔɔ-ji-r-wɔ-si | isi-gədi. | 
| 1SG | 2SG-GEN | meal-INACC | do-PROG-PTCP.NPST-ACC-2SG.POSS | look-VOL | 
‘-ci’가 ‘-은 지’의 의미로 쓰일 때는 중의성이 없다.
주로 앞의 행위가 진행되다가 그 행위가 중단되고 다른 행위로 옮겨감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