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evenki:2_wordclass:23_verb:23_verb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23_verb : 동사 (verb)

동사의 시제 체계와 인칭표지

PRONOUN NON-PAST PAST
1SG bi ∅-mi -suu/-cuu
1PL(EXCL) bu ∅-mun -saa-mun
1PL(INCL) miti ∅-tti -saa-tti
2SG si ∅-ndi -saa-si
2PL su ∅-sun/cun -saa-sun
3SG/PL tar/taccil ∅-ran -saa-ø

종결어미

(1) 평서문

평서문은 특별한 종결어미가 없고 수와 인칭에 의해 분화된다. (동사의 시제 체계와 인칭표지 참조)

(2) 명령문

2SG -ka/-kə; -xa/-xə/-xɔ
2PL -ka-ldon/-kə-ldun; -xa-ldon/-xə-ldun/-xɔ-ldon
그 외에 ‘-daa/dəə-’가 있다.
SG PL
1 - bu(EXCL) V-daa-mun
miti(INCL) V-daa-wal
2 si V-daa-wi su V-daa-sun
3 tar V-daa-ni taccil V-daa-ni

(3) 청유문

청유형 어미에는 ‘-gari/-gəri/-gɔri’가 있는데 이는 1인칭 복수 청자 포함형인 ‘miti’와만 쓰인다.

1PL(INCL) miti -gari

(4) 허락문

허락문 어미로는 ‘-gini’를 들 수 있는데 이는 3인칭 단수와 복수일 경우에 쓰일 수 있다.

3SG/PL -gini

(5) 약속문

화자가 어떤 행위나 행동을 하려는 의향의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1SG bi -gadi
1PL(EXCL) bu -gadi-mun

비종결어미

(1) 동명사 어미(Particle)

(2) 부동사 어미(Converb)

동사의 태

(1) 피동태

동사 어근에 -wo-/-wu-가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양성 모음 뒤에는 ‘-wo-’
huih1238
asa-wo-ranawa-wo-ran
쫓아내다-피동-3닦다-피동-3
쫓겨나다 닦이다
음성 모음 뒤에는 ‘-wu-’
huih1238
xuməlii-wu-rənji-wu-rən
안다-피동-3먹다-피동-3
안기다 먹히다
‘n’으로 끝나는 동사 어근의 경우 ‘n’이 탈락한 뒤에 ‘-wo-/-wu-’가 결합
huih1238
ammaan-anammaa-wo-ran
물다-3물다-피동-3
물다 물리다

(2) 사동태

동사 어근에 ‘-xaan-/-xəən-/-xɔɔn-’, ‘-kaan-/-kəən-/-kɔɔn-’이 결합되어 사동사가 만들어진다.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근은 ‘-xaan-/-xəən-/-xɔɔn-’과 결합
huih1238
dəgəlii-xəən-ənguuruu-xəən-ən
날다-사동-3이해하다-사동-3
날리다 이해시키다/이해하게 하다
‘n’으로 끝나는 동사 어근은 ‘–kaan-/-kəən-/-kɔɔn-’과 결합
huih1238
imo-xaan-an
마시다-사동-3
마시게 하다

(3) 공동태

동사 어근에 접사 ‘-ldii-’가 결합되어 공동태 동사를 만든다. ‘-ldii-’가 결합된 동사의 행위주가 하나 이상이며 기본 의미는 ‘어떤 행위를 공동적으로 하다’이다. 즉 ‘행위주가 서로를 도와주면서 함께 어떤 행위를 하는 것을 도와주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차적로 ‘-ldii-’는 ‘상호 어떤 행위를 하다’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huih1238
awa-ldii-ranɔɔ-ldii-rɔn
닦다-공동-3하다-공동-3
닦는 것을 도와주다; 서로를 닦아주다 V하는 것을 도와주다; 서로 도와주다

(4) 상호태

동사 어근에 접사 ‘-maasi-/-məəsi-/-mɔɔsi-’가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huih1238
akki-maasi-ranana-maasi-ran
칼로_지르다-상호-3밀다-상호-3
칼로 서로 지르다 서로 밀다
doc/evenki/2_wordclass/23_verb/23_verb.151901647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2/19 14:01 저자 ka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