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evenki:2_wordclass:31_pro:31_pro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인칭대명사

PERS SG PL
1.EXCL bi bu
1.INCL miti
2 si su
3 ər/tar əccil/taccil

인칭대명사 중에서 ‘bi(나), si(너), bu(우리; 배제형), su(너희)’이 격조사와 결합하면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bi(1SG) min-
si(2SG) sin-
bu(1PL.EXCL) mun-
su(PL) sun-

지시대명사

어웡키어의 지시대명사는 거리 중심 체계로 근칭의 ‘ə-’와 원칭의 ‘ta-’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1) 근칭의 ‘ə-’의 격조사와의 결합 양상

여처격 ə-du 여기에(서)
방위격 ə-lə 이쪽에(서)
탈격 ə-txi 이리로
부정방향격 ə-txəəxi 이쪽을 향해
방위탈격 ə-ləxi 이쪽에서부터
방면탈격 ə-ggiji 이쪽으로부터
경로격 ə-li 이쪽을 통해; 이쪽을 따라

(2) 원칭의 ‘ta-’의 격조사와의 결합 양상

여처격 ta-do 거기/저기에(서)
방위격 ta-la 그쪽/저쪽에(서)
탈격 ta-txi 저리로
부정방향격 ta-txaaxi 그쪽/저쪽을 향해
방위탈격 ta-laxi 그쪽/저쪽에서부터
방면탈격 ta-ggiji 그쪽/저쪽으로부터
경로격 ta-li 그쪽/저쪽을 통해; 그쪽/저쪽을 따라

재귀대명사

어웡키어의 재귀대명사에는 비자립적인 ‘məən-’이 있다. ‘məən-’은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뒤에 소유인칭표지, 재귀소유인칭표지, 격표지, 중복된 형태로 쓰이거나 뒤에 ‘-kən(-만)’과 같은 접사와 결합하여 쓰인다. 주체, 행위주가 단수이면 재귀소유인칭표지도 단수여야 하고 행위주가 복수이면 재귀소유인칭표지도 복수여야 한다. 그리고 ‘məən-’ 뒤에 인칭대명사의 복수형 ‘-cil’이 결합된 ‘məən-cil’도 있다.

(1) ‘məən-’

1)

məən-REFL
məən-3POSS
huih1238 kalina:2018
Mandiməən-bialii-ran.
Mandioneself-SG.REFLget.upset-3
만디는 스스로에게/자기 자신에게 화났다./자책했다.
huih1238 kalina:2018
tarbəi-iawara-mgun-ji-cciməə-ninwaa-wo-saa-ø.
(S)heperson-INACCsave-CVBsay-PROG-CVBoneself-3POSSkill-PASS-PST-3
그는 사람을 구하려다가 살해당했다.

2)

məən-GEN-REFL/POSS
məən-GEN-CASE-REFL/POSS
huih1238 kalina:2018
siməə-ni-wijit-kə(>jik-kə).
2SGoneself-GEN-SG.REFLeat-2SG.IMP
너는 자기의 것을/네 것을 먹어라.
huih1238 kalina:2018
ərbitəgəsi-niməə-ni-sigi?
thisbook2SG-GENoneself-GEN-2SG.POSSQ
이 책은 너 본인의/자신의 것이냐?
huih1238 kalina:2018
bisi-niməə-ni-wə-siooga-gadi.
1SG2SG-GENoneself-GEN-ACC-2SG.POSSride-1SG.VOL
나는 너의 것을 (교통수단) 탈게.

3) məən-GEN NP-(PL)-CASE-REFL/POSS

huih1238 kalina:2018
biməə-nijuu-ddi(<-ddu-wi)nənuu-mi.
1SGoneself-GENhome-DATL-SG.REFLgo.back-1SG
나는 내 집에 돌아간다./나는 자기 집에 돌아간다.

4) məən-CASE-REFL/POSS

huih1238 kalina:2018
Ilgaməən-txi-winəttəbəi-dunin-cəə-ø.
Ilgaoneself-ABL-SG.REFLshortperson-DATLgo(to.destination)-PST-3
일가는 자기보다/자기 자신보다 키가 작은 사람한테 시집갔다.
huih1238 kalina:2018
okkəxənurəlnenxin-ji-wiəmiugii-rə,boroo-txinenxinməən-ji-nugii-ji-rən.
malechilddog-INS-SG.REFLNEGplay-PTCP.NPSTreverse-ABLdogoneself-INS-3POSSplay-PROG-3
남자 아기가 자기 개랑 놀지 않고 반대로 개가 지랑 놀고 있다.
huih1238 kalina:2018
tarxərulə-iil-oo-mgunkəndolin-do-nii-cciərubəi-səlməən-bə-nwaa-saa-ø.
(S)hefight-INACCstand-CAUS-CVBQUOTmiddle/half-DATL-3POSScome.in-CVBbadperson-PLoneself-ACC-3POSSkill-PST-3
그는 싸움을 말리려고 중간에 들어갔는데 나쁜 사람들이 그를 죽였다.

(2) ‘məən məən-’

1) 서로(상호적 기능)

huih1238 kalina:2018
taccilməən-məən-ji-wəlatxaasii-saa-ø.
theyeach.other-INS-PL.REFLlaugh-PST-3
그들은 서로 마주 보고/서로를 갖고 깔깔 웃었다.

2) 각자

huih1238 kalina:2018
məən-məə-nisoobala-waliŋii-gəri./-gini.
each.other-GENbag-PL.REFLcarry-HORT/-JUS
우리가 각자의 가방을 맵시다./매도록 해.

3) 따로따로

huih1238 kalina:2018
məən-məən-kilul-gəri(>ug-gəri).
each.other-kilgo(from.here)-HORT
따로따로 가자.

(3) ‘məən-kən’

‘məən-’이 ‘-kən(-만)’과 결합하여 ‘스스로, 직접’의 의미를 나타내게 된다.

huih1238 kalina:2018
addi-siməən-kəngee-donin-cəə-ø.
grandmother-2SG.POSSpersonallycity-DATLgo(to.destination)-PST-3
너의 할머니가 몸소 시내에 갔다.
huih1238 kalina:2018
məən-kənɔɔ-sɔɔxəəməanta-si.
personallydo-PTCP.PSTmealtaste-have
손수 만든 음식이 맛있다.
huih1238 kalina:2018
binexanbitəgə-iməən-kəntati-suu.
1SGChineseword-INACCpersonallylearn-PST.1SG
나는 중국어를 독학했다.

(4) məən-cil

məən-cil(본인들): ‘məən-’ 뒤에 인칭대명사의 복수형 ‘-cil’이 결합된 것이다. ‘məən-’과 같이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3인칭 소유인칭표지, 복수 재귀소유인칭표지와 결합하여 주어적 용법, 서술어적 용법, 목적어적 용법으로 쓰인다. ‘məən-cil’이 ‘məən-təl’으로 바꿔 쓸 수도 있다.

1) 주어적 용법: məən-cil-nin

huih1238 kalina:2018
məən-cil-ninoxon-katə-jiləŋkiətə-rəməən-bəloxon-balgunkənbɔdɔ-rɔnjɔ.
oneself-PL-3POSSwhat-katNEG-CVBcan-PTCP.NPSToneself-PL.REFLwhat-PL.REFLQUOTthink-3
본인들은 아무것도 못 하면서 자기들이 잘났다고 생각한다./뭐라도 되는 줄 안다.

2) 서술어적 용법: məən-cil-ni-nin

huih1238 kalina:2018
əryəəməməən-cil-ni-nin.
thisthingoneself-PL-GEN-3POSS
이 물건은 그들 본인들의 것이다.

3) 목적어적 용법

사물인 경우: məən-cil-ni-wəl

대부분의 경우 주어가 복수여도 –cil이 없는 məə-ni-wəl을 쓴다.

huih1238 kalina:2018
taccilməə-ni-wəl/məən-cil-ni-wələlbuu-səə-ø.
theyoneself-GEN-PL.REFL/oneself-PL-GEN-PL.REFLtake-PST-3
그들은 자신들의 것(물건)을 가져갔다.
사람인 경우: məən-cil-wə-n
huih1238 kalina:2018
bitaccil-tximəən-cil-wə-nxəəmə-ijit-kəən-migun-cuu.
1SGthey-ABLoneself-PL-ACC-3POSSmeal-INACCeat-CAUS-1SGsay-PST.1SG
나는 그들에게 그들을 대접한다고 했다.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의 분류

어웡키어의 의문대명사는 ‘a-’계열, ‘o-/ɔ-’계열, ‘i-’계열로 나누어진다.

a-계열 o-/ɔ-계열 i-계열
awo 누구 oxon 무엇 idu 어디에(한정)
anti 어때; 얼마나 ɔɔndi 어떤 ilə 어디에(비한정)
adi (수량이 적은) 몇 ɔɔxi (수량이 많은) 얼마 ittu 어떻게
ɔɔxi-do 언제 iiyə 어느 (것)
iiman; yɔɔdɔn 왜

비한정사

‘iiman, yɔɔdɔn(왜)’를 제외한 의문대명사에 ‘-xat ~ -xət ~ -xɔt; -kat’과 같은 접사가 결합되면 비한정사로 쓰이게 된다. 비한정사가 쓰인 문장이 긍정문이냐 부정문이냐에 따라서 자유 선택 비한정사인지 부정 극성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한정사 부정극성 자유선택
adi-xat (수량 적은) 얼마도/몇 개도 얼마든(지)/몇 개라도
ɔɔxi-xɔt (수량 많은) 얼마도 얼마든(지)/얼마라도
idu-xət (한정적인) 어디에도/아무데도 어디나/어디든(지)/아무데나
ilə-xət (비한정적인) 어디에도/아무데도 어디나/어디든(지)/아무데나
awo-xat 아무도 아무나/누구나/누구든(지)
oxon-kat 아무것도/무엇도 무엇이나/무엇이든(지)/아무거나
ɔɔndi-xɔt × 어떤 것이든지
ɔɔxi-do-xət × 언제나/언제든(지)/항상
ittu-xət 어떻게 해도 어떻게든/마음대로
doc/evenki/2_wordclass/31_pro/31_pr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11:34 저자 ka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