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RS | SG | PL |
|---|---|---|
| 1.EXCL | bi | bu |
| 1.INCL | miti | |
| 2 | si | su |
| 3 | ər/tar | əccil/taccil |
인칭대명사 중에서 ‘bi(나), si(너), bu(우리; 배제형), su(너희)’이 격조사와 결합하면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 bi(1SG) | min- |
| si(2SG) | sin- |
| bu(1PL.EXCL) | mun- |
| su(PL) | sun- |
어웡키어의 지시대명사는 거리 중심 체계로 근칭의 ‘ə-’와 원칭의 ‘ta-’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 여처격 | ə-du | 여기에(서) |
| 방위격 | ə-lə | 이쪽에(서) |
| 탈격 | ə-txi | 이리로 |
| 부정방향격 | ə-txəəxi | 이쪽을 향해 |
| 방위탈격 | ə-ləxi | 이쪽에서부터 |
| 방면탈격 | ə-ggiji | 이쪽으로부터 |
| 경로격 | ə-li | 이쪽을 통해; 이쪽을 따라 |
| 여처격 | ta-do | 거기/저기에(서) |
| 방위격 | ta-la | 그쪽/저쪽에(서) |
| 탈격 | ta-txi | 저리로 |
| 부정방향격 | ta-txaaxi | 그쪽/저쪽을 향해 |
| 방위탈격 | ta-laxi | 그쪽/저쪽에서부터 |
| 방면탈격 | ta-ggiji | 그쪽/저쪽으로부터 |
| 경로격 | ta-li | 그쪽/저쪽을 통해; 그쪽/저쪽을 따라 |
어웡키어의 재귀대명사에는 비자립적인 ‘məən-’이 있다. ‘məən-’은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뒤에 소유인칭표지, 재귀소유인칭표지, 격표지, 중복된 형태로 쓰이거나 뒤에 ‘-kən(-만)’과 같은 접사와 결합하여 쓰인다. 주체, 행위주가 단수이면 재귀소유인칭표지도 단수여야 하고 행위주가 복수이면 재귀소유인칭표지도 복수여야 한다. 그리고 ‘məən-’ 뒤에 인칭대명사의 복수형 ‘-cil’이 결합된 ‘məən-cil’도 있다.
1)
| məən-REFL |
| məən-3POSS |
| Mandi | məən-bi | alii-ran. |
| Mandi | oneself-SG.REFL | get.upset-3 |
| tar | bəi-i | awara-m | gun-ji-cci | məə-nin | waa-wo-saa-ø. |
| (S)he | person-INACC | save-CVB | say-PROG-CVB | oneself-3POSS | kill-PASS-PST-3 |
2)
| məən-GEN-REFL/POSS |
| məən-GEN-CASE-REFL/POSS |
| ər | bitəgə | si-ni | məə-ni-si | gi? |
| this | book | 2SG-GEN | oneself-GEN-2SG.POSS | Q |
| bi | si-ni | məə-ni-wə-si | ooga-gadi. |
| 1SG | 2SG-GEN | oneself-GEN-ACC-2SG.POSS | ride-1SG.VOL |
3) məən-GEN NP-(PL)-CASE-REFL/POSS
| bi | məə-ni | juu-ddi(<-ddu-wi) | nənuu-mi. |
| 1SG | oneself-GEN | home-DATL-SG.REFL | go.back-1SG |
4) məən-CASE-REFL/POSS
| Ilga | məən-txi-wi | nəttə | bəi-du | nin-cəə-ø. |
| Ilga | oneself-ABL-SG.REFL | short | person-DATL | go(to.destination)-PST-3 |
‘məən-’이 ‘-kən(-만)’과 결합하여 ‘스스로, 직접’의 의미를 나타내게 된다.
məən-cil(본인들): ‘məən-’ 뒤에 인칭대명사의 복수형 ‘-cil’이 결합된 것이다. ‘məən-’과 같이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3인칭 소유인칭표지, 복수 재귀소유인칭표지와 결합하여 주어적 용법, 서술어적 용법, 목적어적 용법으로 쓰인다. ‘məən-cil’이 ‘məən-təl’으로 바꿔 쓸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주어가 복수여도 –cil이 없는 məə-ni-wəl을 쓴다.
어웡키어의 의문대명사는 ‘a-’계열, ‘o-/ɔ-’계열, ‘i-’계열로 나누어진다.
| a-계열 | o-/ɔ-계열 | i-계열 |
|---|---|---|
| awo 누구 | oxon 무엇 | idu 어디에(한정) |
| anti 어때; 얼마나 | ɔɔndi 어떤 | ilə 어디에(비한정) |
| adi (수량이 적은) 몇 | ɔɔxi (수량이 많은) 얼마 | ittu 어떻게 |
| ɔɔxi-do 언제 | iiyə 어느 (것) | |
| iiman; yɔɔdɔn 왜 |
‘iiman, yɔɔdɔn(왜)’를 제외한 의문대명사에 ‘-xat ~ -xət ~ -xɔt; -kat’과 같은 접사가 결합되면 비한정사로 쓰이게 된다. 비한정사가 쓰인 문장이 긍정문이냐 부정문이냐에 따라서 자유 선택 비한정사인지 부정 극성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 비한정사 | 부정극성 | 자유선택 |
|---|---|---|
| adi-xat | (수량 적은) 얼마도/몇 개도 | 얼마든(지)/몇 개라도 |
| ɔɔxi-xɔt | (수량 많은) 얼마도 | 얼마든(지)/얼마라도 |
| idu-xət | (한정적인) 어디에도/아무데도 | 어디나/어디든(지)/아무데나 |
| ilə-xət | (비한정적인) 어디에도/아무데도 | 어디나/어디든(지)/아무데나 |
| awo-xat | 아무도 | 아무나/누구나/누구든(지) |
| oxon-kat | 아무것도/무엇도 | 무엇이나/무엇이든(지)/아무거나 |
| ɔɔndi-xɔt | × | 어떤 것이든지 |
| ɔɔxi-do-xət | × | 언제나/언제든(지)/항상 |
| ittu-xət | 어떻게 해도 | 어떻게든/마음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