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웡키어의 문장유형은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 허락문, 약속문, 의문문으로 나누어진다.
평서문은 특별한 종결어미가 없고 수와 인칭에 의해 분화된다. (동사의 시제 체계와 인칭표지 참조)
어웡키어의 명령문은 2인칭 단수일 경우에는 명령형 어미 ‘-ka ~ -kə; -xa ~ -xə ~ -xɔ’가 쓰이고, 2인칭 복수일 경우에는 ‘-ka ~ -kə; -xa ~ -xə ~ -xɔ’ 뒤에 인칭표지 ‘-ldon ~ -ldun’이 결합된 ‘-kaldon ~ -kəldun; -xaldon ~ -xəldun ~ -xɔldon’이 쓰인다.
| 2SG | -ka ~ -kə; -xa ~ -xə ~ -xɔ |
| 2PL | -kaldon ~ -kəldun; -xaldon ~ -xəldun ~ -xɔldon |
| su | timaasin | əddə | nadan | sag-do | yuu-xəldun. |
| 2PL | tomorrow | morning | seven | hour/watch-DATL | go.out/get.up-2PL.IMP |
그 외에 ‘-daa/dəə/dɔɔ-’가 있다.
| PERS | SG | PL |
|---|---|---|
| 1 | - | bu(EXCL) V-daa-mon |
| miti(INCL) V-daa-wal | ||
| 2 | si V-daa-wi | su V-daa-son |
| 3 | tar V-daa-ni | taccil V-daa-ni |
청유형 어미에는 ‘-gari ~ -gəri ~ -gɔri’가 있는데 이는 1인칭 복수 청자 포함형인 ‘miti’와만 쓰인다.
| 1PL.INCL | miti | -gari ~ -gəri ~ -gɔri |
허락문 어미로는 ‘-gini’를 들 수 있는데 이는 3인칭 단수와 복수일 경우에 쓰일 수 있다.
| 3SG/PL | -gini |
약소문 어미로는 ‘-gadi ~ -gədi ~ -gɔdi’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화자가 어떤 행위나 행동을 하려는 의향의 의미를 나타낼 때 쓰인다. 1인칭 단수일 경우에 ‘-gadi’가 쓰이고 1인칭 복수 청자 배제형의 ‘bu’일 경우에 ‘-gadi’ 뒤에 인칭표지 ‘-mon’이 결합된다.
| 1SG | bi | -gadi ~ -gədi ~ -gɔdi |
| 1PL.EXCL | bu | -gadi-mon ~ -gədi-mun ~ -gɔdi-mon |
어웡키어의 의문문은 의문대명사, 의문 첨사에 의해 실현된다.
의문대명사에 의한 의문문은 의문 첨사가 쓰이지 않는다.
판정의문문은 첨사 '-gi'에 의해 실현된다.
선택의문문은 첨사 ‘~ gu? ~ gu?’에 의해 실현된다. 선택항이 둘 이상이면 ‘gu’도 선택항에 따라 두 번 이상 쓰일 수 있다.
| si | ada-la | ninə-ndi | gu? | əsi-ndi | gu? |
| 2SG | elder.sister-DIR | go(to.destination)-2SG | Q | NEG-2SG | Q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