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라오어에 존재하는 음변 현상은 대부분 연속해서 읽을 때 일어나는 변조 현상이다.
연속해서 읽을 때 나타나는 변조는 단어, 문장에서 균등하게 일어나지만, 새로운 성조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변조범위는 본래 성조 체계의 범위로 한정하여 일어난다.
거라오어의 접두사는 동사성 접두사와 명사성 접두사로 나뉜다.
명사성, 동사성 접두사 모두 변조 현상이 존재하며 명사 앞의 접두사로 쓰일때에만 변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명사
동사/형용사
명사
동사/형용사
명사
동사/형용사
동사성이든 명사성이든 접두사 vu³¹ 는 뒤에 오는 음절이 내림조혹은 오름조일 때, 접두사가 본래 조인 31조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온다면 접두사 역시 동화되어 중수평조 vu³³이 된다.
예외는 대사 “vu ʨi” 이다.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는데 접두사가 본래 성조로 읽힌다.
접두사 lʌ³¹는 동사성이든 명사성 이든지 간에, 뒤 음절이 내림조 혹은 오름조이면 본래 성조 31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면 접두사는 동화되어 중수평조 33으로 바뀐다.
문장에서의 변조는 단어가 문장안의 앞뒤 단어의 영향을 받거나 특정한 문법 기제의 제약에 따라 발생한다. 아래와 같은 복잡한 상황이 존재한다.
1.“au³¹是”는 문장에서 뒤에 내림조가 올 때 오름조로 바뀐다.
2.au³¹이 뒤에 오는 상황에 대해 확신이나 강조를 나타내면, 오름조로 변한다.
3.au³¹이 뒤에 오는 상황에 대한 부정을 나타내면, 수평조로 변한다.
동사 바로 뒤에 오름조인 단어가 올 때,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강조동작일 때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문장에 강조 조사가 있을 때, 앞의 동사는 변조가 필요하다.
대사가 개사 뒤에 위치할 때, 수평조가 오름조로 바뀐다.
몇몇 명사는 앞에 오는 단어의 영향으로 성조가 변한다. 일반적으로 내림조가 오름조로 변한다.
정도 비교 형용사 do³¹ 앞 단어의 변조 상황은 아래와 같다.
do³¹ 앞 단어가 내림조이면 오름조로 바뀐다.
do³¹ 앞 단어가 수평조이면 성조가 변하지 않는다.
do³¹앞의 단어가 오름조이면 그대로 오름조를 유지한다.
do³¹앞의 dza³⁵는 변하지 않는다.
만약 do³¹ 앞의 단어가 이음절 형용사라면, 이음절 뒤의 운모가 중복되거나, 음이 연장되는 음절 ʌ³³이 추가된다.
내림조 형용사는 문장에서 형용사를 강조해야 할 때, 오름조로 변한다.
예⓵은 qʌ³³nan³³을 강조하기 위해 leŋ³⁵⁻³¹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예⓶는 khai³⁵를 강조하기 위해 qəɯ³⁵⁻³¹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개사 목적어를 강조해야할 때, 개사에 변조가 일어난다.
na35~31 i55 zan33 qau35 V31ɬ@M35 ts\_ha31 내가 한번 물어보겠다.
1.부정문에서 술어동사가 수평조로 변화하여 부정을 표시한다.
m@M31 aN31 wai55 jaM33 aN33~31 당신은 형제가 있습니까?
m@M31 ?luN33~31 da31 z\31 당신은 노래를 못합니까?
2.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는, 능원동사가 내림조에서 수평조로 바뀌며 부정을 표시한다.
m@M31 han33~31 z\i31 k_hen31 wo33 너는 쉴 수 없다.
m@M31 han31 vu33mi55zen31 han33 너는 집에 돌아갈 수 있니?
3.문장 끝에서의 부정부사 변조는 문장의 긍정부정 형식의 연속된 사용을 표시한다.
m@M31 vu33 ma35~31 너 가니?
거라오어에는 음 생략 현상이 존재한다.
접두사 qʌ³¹은 대체로 성모를 생략하고 운모만 읽는다
문장 끝의 부정부사 wo³³과 어기사 o³⁵혹은 ʌ³⁵가 서로 연속에서 나타날 때, 두개의 음절은 대체로 하나의 음절로 합병된다.
wo³⁵는 wo³³과 문장 끝의 어기사 o³⁵가 합병된 결과이다.
wʌ³⁵는 부정부사 wo³³과 문장 끝의 어기사 ʌ³⁵가 합병된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