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라오어에 존재하는 음변 현상은 대부분 연속해서 읽을 때 일어나는 변조 현상이다.
연속해서 읽을 때 나타나는 변조는 단어, 문장에서 균등하게 일어나지만, 새로운 성조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변조범위는 본래 성조 체계의 범위로 한정하여 일어난다.
거라오어의 접두사는 동사성 접두사와 명사성 접두사로 나뉜다.
(1)명사
(2) 동사/형용사
(1)명사
(2)동사/형용사
(1)명사
(2)동사/형용사
동사성이든 명사성이든 접두사 vu³¹ 는 뒤에 오는 음절이 내림조혹은 오름조일 때, 접두사가 본래 조인 31조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온다면 접두사 역시 동화되어 중수평조 vu³³이 된다. 예외는 대사 “vu ʨi” 이다.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는데 접두사가 본래 성조로 읽힌다.
(1)명사
(2)동사
(1)명사
(2)동사
(3)개사
(1) 명사
(2)동사
(3)형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