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라오어에는 '0'을 표시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중국어를 차용한 ‘lin31 零’이고, 다른 하나는 ‘ʔle31 多’을 써서 나타낸다.
1~9까지는 다음과 같다.
-ts\_hiu31 6
거라오어의 자릿수 표현은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의 '十'을 표현하는 형식은 두 가지가 있는데, 수량이 '二十' 아래일 때는 '十'은 ts_hei33 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십일(11)은 ts_hei33 tsɿ33이고, 십이(12)은 ts_hei33 s@M31이다.
수량이 '二十'일 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전통적인 조합 방법으로 sEM31 ts_hei55 이십(20)과 같이 나타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방법은 하나의 단순 단어를 쓰는 것으로 Ne31tsei35과 같이 나타내는 것이다.
수사가 '二十'이상일 때는 자릿수 '十'은 성조가 중평조에서 고평조로 변한다.
'十'의 변조는 경우에 따라 어림수(约数)와 기수(基数)를 구별하기도 한다.
거라오어의 복합수사에서 만약 자릿수 ts_hei33 뒤에 수사가 없으면 ts_hei33는 자주 생략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에서 ‘0’은 종종 앞에 ?le31 0 또는 lin31 0을 추가하여 나타내는데 만약에 tsɿ33 ɬiu35 tsɬ33110에서 tsɬ33 1의 앞에 ?le31 0를 추가하면, tsɿ33 ɬiu35 ?le31 tsɬ33101이 된다. 비교적 큰 숫자의 마지막 자릿수 앞의 tsɿ331은 종종 말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le31 0을 추가하여 표현한다. 단, tsɬ33 1보다 큰 수는 반드시 그 수를 말해야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tsɿ33 | qV31ja35 | tsɿ33 | Nan33 | tsɿ33 | ɬiu35 | ?le31 | tshei33 | tsɿ33 |
one | ten.thousand | one | thousand | one | hundred | zero | ten | one |
tsɿ33 | qV31ja35 | tsɿ33 | Nan33 | tsɿ33 | ɬiu35 | ta31 | ts_hei33 | tsɿ33 |
one | ten.thousand | one | thousand | one | hundred | three | ten | one |
예 (a)에서 ?le31이 있고 없고가 1의 단위와 10단위를 구별해준다. 예 (b)에서 십단위수는 tsɿ331일 경우는 일반적으로 생략하나, 예 (c)에서처럼 십단위수는 ta313일 경우에는 생략할 수 없다. 단, 수사 뒤에 양사를 대동하였을 때는 '十'을 생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tsɿ33 ɬiu35 s@M31 ts_hei33 p_hi33 백오십원(150원) 이다.
기수사는 배수, 분수, 어림수의 구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수는 기수사에 'pu33' ‘배’를 더해서 구성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분수는 '几成(몇 할)’을 써서 나타내기도 하고 '몇 분의 몇'을 써서 나타내기도 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에서 어림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4가지가 있다.
수사와 다음의 단어를 결합하여 구를 형성한다. 다음과 같다.
어림수를 나타내는 단어인 sa31 몇, tsa35pai33 조금, V33tsi33 약간, tsɿ33 약간, ma33hei31 약간을 사용해서 나타낸다.
인접한 수사를 연용하여 어림수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자릿수 앞에 ‘da31’을 부가해서 어림수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에서 일반선후순서는 구체적인 사물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며, 수사와 양사를 같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양사가 수사 앞에 놓이며, 가리키는 사물이 달라지면 쓰는 양사도 달라진다.
거라오어에서 인물의 선후 순서는 경우에 따라 나타내기에 불편하여 인물의 참조점을 이용하여 선후 순서를 나타내기도 한다.
i55 | n\i35q@M31, | m@M31 | a31 | pan35lan33 | i55, | mi~35 | a35 | pan35lan33 | m@M31 |
1SG | first | 2SG | PREP | behind | 1SG | 3SG | PREP | behind | 2SG |
중국어를 직접 차용하여 선후 순서를 나타내기도 한다.
-ti35z\31 첫 번째
장유 순서는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 수사 혹은 형용사를 연결해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일주일 중 요일의 순서는 ‘星期’ 뒤에 숫자를 부가해서 표시한다. 단, 일요일은 순서가 반대이다.
한달 내 각 날짜의 순서의 경우, 거라오어 자체에 며칠이라고 나타내는 용법이 없다. 다만, 시장에 가는 시간으로 표시한다. 6일에 한번 장이 서고 6번 시장이 선다. 牛坡에서 시작하여(牛、羊), 두 번째 날은 六枝(虎、猴), 세 번째 날은 箐口(鸡、兔),네 번째 날은 红岩(龙、狗),다섯 번째 날은 新场(猪,蛇),여섯 번째 날은 堕却鼠、马)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지금은 거라오어에도 중국어를 차용하여 날짜를 나타내는 용법이 있다. 예를 들어 z\31 hau35 1일, @~35hau35 2일이다.
하루 내 각 시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tsɿ33dz\au33 1시, s@M31duN31 2시
거라오어의 시간에서 기수와 순서는 구분해낼 수 없으며, 다만 문맥에 의지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mi~35 | do31 | lV35 | s@M31 | duN31 | di33 | sɿ31hei35 |
3SG | come | PTCL | two | o'clock | CONN | time |
1년 중 각 달의 순서는 vu31dz\i31 월의 '뒤'에 숫자를 부가해서 나타낸다. 월 앞에는 양사 duN31을 부가할 수 있다.
월 앞에는 양사 duN31을 부가하여 나타낼 수 있는데, 개월 수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오히려 duN31을 쓰지 않고, 직접 vu31dz\i31 월 '앞'에 수사를 더해서 개월 수를 나타낸다.
1년 중 4계절의 순서는 본토어로 나타내는 방법과 중국어 차용어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중국어 차용어는 ts\_hun33 t_hian 봄, s\a t_hian33 여름이다.
거라오어의 수사는 일반적으로 양사와 조합되어 수량구를 이루어야만 통사 성분을 담당할 수 있으며, 수량구는 문장에서 주어,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보어,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