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gelao:2_wordclass:36_ptcl:36_ptcl

36_ptcl : 첨사(particle)

거라오어의 첨사는 크게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뉜다.

구조조사

di33 的

(1)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문중에서 li33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데, 거라오어족이 li33로 읽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보통은 ‘수식어+di33+피수식어’ 어순이지만, ‘피수식어+di33+수식어’의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9
wuN31lan31di33ven31vuN31M35kEn35gi55
dayafterGENlifewillmuchbetter
장래의 생활은 더 좋을 것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39
mi~35au31qV31tshu35a35lEu31san35li33au33
3SGCOPpeoplePTCLJuDuGENnot.BE
그 사람은 居都 사람이야 아니야?

(2) di33는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쓰여 명사화(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0
a33J_+au31di33mEM31a33bM35au31di33mi~35
DMthisCONTGEN2SGPTCLthatCOPGEN3SG
이것은 네 것이고 저것은 그의 것이다.

(3) 중국어 문법의 영향으로 di33가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거라오어 원래 어순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0
plei31J_+i35di33tS\i31fan33tshen31nin31di33gi33
yearthisGENriseCOMPARlast.yearGENgood
올해의 벼는 작년의 벼보다 좋다.

(4) 거라오어에서 소유 구조는 보통 ‘명사+수식어’의 구조로 조사를 쓰지 않는다. 조사를 쓰는 것은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문장은 거라오어의 고유 표현으로 환원될 수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0
la35mEM31lan33la35i55dz\au31li35wo33
child2SG부정동사child1SGlikecryNEG.FP
너의 아이는 나의 아이만큼 잘 울지는 않는다.

(5) di33과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가 명사화 di33 구조를 이룰 때 보통 명사, 대명사,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에 놓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과 뒤에 다 놓이는 경우도 있음. 뒤에 놓이는 것은 li33으로 변독되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1
phai35su31nan35au31di33mEM31di33?
CLbookwhichCONTGEN2SGGEN
어떤 책이 너의 것이니?
di33 地

거라오어는 원래 부사어 표지 없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하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부사어 표지 'di33 地'를 차용하게 되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2
ma33thiN31di33s\in31
NEGstopADVZsay
멈추지 않고 말하다
[lV33], di33

거라오어는 원래 결과보어나 상태보어 표지 없이 직접 동사 뒤에 위치했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lV33, di33을 차용하게 되었다. lV33, di33은 보어의 앞에 놓인다.

di33 得
judu1234 kangzhongde2011:143
mi~35di33vu31tM31su31lo31zo31di33gi33
3SGGENscriptwriteADVZgood
그는 글씨를 잘 쓴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3
dM35nuN31J_+i35V31duN31lV33dz\i31kan31tsɿ33sEM31
CLthingthismake.noiseADVZeveryCLallknow
이 일이 시끄러워져서 모든 사람들이 알게 되었다.

어기조사

ne35

문두에서 화제의 시작을 알리거나 문중에서 휴지와 화제를 겸해서 나타내거나 어떤 경우에는 문미에서 진술과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평소에 말할 때는 대부분 문미에 놓이며 문두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1) 문두에서 어기를 부드럽게 하고 화제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7
ne35aN31qV31tshu35jou35s\in31fei31mi~35J_+uN35huN31han35V35
DMEXISTpersonagainsayto3SGlistenITERPTCL
어떤 사람이 또 그에게 말해서 들려주었다.

(2) 문중에서 대조, 휴지, 화제를 나타내는 등 역할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7
pa35V33dzoN33ne35tshuN33na31ts\i33ts\o31da31gi33wo33
abovePTCLINFto2PLmakeRESNEG.PTCL
정부는 너희들에게 지어줄 수가 없다.

(3) 진술문 문말에 쓰여 새로운 상황을 서술하거나 상대방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문미어조는 비교적 높다. 명사성 비주술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동사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대명사 s\aN33, aN31, da31ts\i33와 같이 쓰여서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8
vuN31ha35~31qEM31ne35
timestillearlyPTCL
시간이 아직 이른 걸요.
judu1234 kangzhongde2011:148
dz\au33san35san33mEM31ne35?
CLbowl2SGQ
너의 그릇은?
judu1234 kangzhongde2011:148
mEM31da31ts\i33ma33do31wo33ne35?
2SGhowNEGcomeNEG.PTCLQ
너 왜 안 온거야?
hau31, a33, ha31(了, 吧)

문미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진술 또는 명령문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1) 진술문에 쓰이는 경우 어떤 견해를 제출하거나 어떤 의견, 요구에 동의함을 나타냄. 어조는 비교적 낮음. hau31와 ha35를 연용하는 경우에는 hau31는 반드시 ha35 앞에 놓여야 함.

judu1234 kangzhongde2011:149
i55vu33tsen31hau31,mEM31z\i31khen31hau31
1SGgobuyPTCL2SGrestDEC
내가 가서 살게. 너는 쉬어.
judu1234 kangzhongde2011:149
i55ma33vu33wo33,mEM31vu33hau31ha35
1SGNEGgoNEG.PTCL2SGgoDEC.DEC
나는 안 갈래, 네가 가라.

(2) 명령문에 쓰이는 경우

a31, hau31를 써서 요청, 명령, 재촉, 권고를 나타냄. a31, hau31에는 어기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9
mEM31ko33tsɿ33vu33a33/hau31!
2SGquicklygoIMP
너 빨리 가라!

(3) hau31와 ha35는 명령어기를 나타내는 s\E33와 공기하여 명령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 때 전체 문장의 어기는 더 강해짐. 이들 간의 위치는 서로 바꿀 수 없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9
gi33ha31,han33s\in31s\e33ha31!
goodDECINFsayIMP.DEC
됐어, 그만 말해!
o35, [V35](了)

문말에 놓여 동작 상태의 실현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49
mi~35?jaM35m_0MN31tsaN33V35
3SGPASSdogbitePRF
그는 개에게 물렸다.

어떤 문장에는 부정을 나타내는 조사 wo33과 어기조사 o35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합음되어 wo33가 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0
meM31ma33nai33wo35ɬa31fei31i55
2SGNEGtakeNEG.PTCLtakegive1SG
네가 가질 거 아니면 나에게 줘.
[s\E33]

문미조사 s\E33는 han33 과 같이 사용되어 “han33…s\E33“의 틀을 이루어 명령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1
do31ai33!han22lo35zi31bM35s\e33
comehereINFstandthereIMP
이리 와! 거기 서 있지 말고.
[maN33]

어기조사 maN33은 문중에 놓일 수도 있고 문미에 놓일 수도 있음. 위치의 다름에 따라 그 어법 작용도 다름.

(1) 선택 관계 어기조사 maN33은 보통로 문장에서 두 개의 단어 혹은 구 사이에 놓여서 구 혹은 절을 이으며, 선택 관계를 나타냄.

judu1234 kangzhongde2011:151
mEM31aN31sEM31tsaN33dM31,M35vu33ɬaM35nz\i31maN33M35vu33tai33lo31mo35
2SGhavetwokindideawillgoseecowDMwillgocutfirewood
너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소치는 것 아니면 나무 하는 것.
judu1234 kangzhongde2011:151
i55vu33maN33ha31sɿ35mEM31vu33V33?
1SGgoPTCLor2SGgoPTCL
내가 갈까 아니면 네가 갈래?

(2) 대비 화제 대비적인 성질을 가진 문장에서 명사성 단어 뒤에 놓여 대비성 화제를 이끌어낸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명사성 단어 뒤에 maN33 이 모두 출현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하나만 출현하기도 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1
?len31maN35da31di33gi33,dM35?lan31J_+i35thai35V31nie35e33do31
housePTCLbuild???goodCLroadthistoodirty???very
집은 매우 잘 지어 놓았지만 이 길은 너무 더럽다.

(3) 의문어기

문말에 놓여 의문 어기를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1
mEM31tsai35lo31zo31su31ha35/maN33?
2SGPROGwritewritingQ
너 지금 글 쓰고 있니?

화용조사

한정 지시

조사 ma33는 명사 앞에 놓여 한정 지시를 나타냄.

judu1234 kangzhongde2011:152
mEM31ɬa31ma33dz\au33khe55J_+i35tuN35?u55
2SGtakeDEFCLpotthisboilmeat
너 이 솥으로 고기를 삶아라.

빈도

tshan35

문미조사 ts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tshan35과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3
jou35do31lan31tshan35V35?
againcomelateITERPTCL
또 늦게 왔어?
han35

문미조사 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han35와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다.

judu1234 kangzhongde2011:153
M35do31man31han35V35
willdocomeITERPTCL
또 비가 오려고 한다.

강조

di35

조사 di35 는 문미에 놓이거나 문미어기사 앞에 놓임. 앞의 동작 행위 혹은 앞의 수량 구조에 대하여 강조 작용을 일으킴.

judu1234 kangzhongde2011:153
i55ka31V33lu33Nu35ko35di35V35
1SGnoonsleepPRFINTPTCL
나 점심 때 잤다.

위 문장에서 조사 ‘di35’가 강조하는 것은 확실히 잠을 잤다는 것임. di35는 li35로 변독될 수 있는데 의미나 통사 기능에는 변함이 없음.

 thei35

조사 thei35는 의문문에서 의문대사 ‘v31ts\i33’ 앞에 쓰임. 뒤의 ‘vu31ts\i33’를 강조하여 비교적 강한 어기를 나타냄. 발화자의 대답에 대한 일종의 기대를 강조함.

judu1234 kangzhongde2011:154
mEM31aN35thei35vu31ts\i33?
2SGhaveINTwhat
너 무엇이 있니?
doc/gelao/2_wordclass/36_ptcl/36_ptc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0 22:10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