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의 핵심 논항 중에서 제2논항, patient, undergoer 등을 의미적 타동성의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길 수 있다. 이 점수가 매우 높은 요소만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도 있고 이 점수가 꽤 낮은 요소까지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도 있다. 따라서 해당 언어에서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것들의 범위가 어디까지 가능한지 보여 줄 필요가 있다. 예) 중국어의 경우에 agent(의미적)가 object(문법역할. 협의의 목적어. accusative 또는 부치사를 동반하지 않는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다. 장소도 목적어가 된다. “학교를 간다” 한국어의 경우 심리동사, 지각동사의 대상도 목적어로 표현된다. “~을 사랑하다”, “~을 보다”, “~를 돕다”.
doc/gelao/4_ss/41_cl/cl_grol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