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gelao:4_ss:43_ctype:ctype_cop

ctype_cop : 계사절/명사절 (copular clause)

계사절

계사절은 계사 ‘au31(是)’이 술어인 절로 주어에 대해 정의, 분류 또는 설명을 한다. 거라오어의 계사절은 기본 형식이 중국어의 계사절과 동일하다. 모두 ‘주어+계사+계사의 목적어(表语)’ 즉, 'S→NP1+V+NP2'의 형식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6
Ne35laN33ts\i33ts\o31n\i35au31l@u31san35
place2PLthisCOPJudu
너희들이 있는 여기는 쥐뚜(居都)이다.

계사절에서 만약 부정을 나타내려고 하면 내부 굴절 방식을 채택한다. 계사의 변조로 부정을 나타내는데 상세한 것은 “부정” 부분을 참고.

(1) 계사절의 의미유형

1) 동일한 관계를 나타냄

주어와 목적어가 가리키는 것이 동일한 사물이다. 이들은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위치가 바뀌어도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7
V31i55au31tuN33tsuN35su33
DM1SGCOPDongZhongShu
나는 동중서이다.

2) 정의관계를 나타냄

목적어가 주어에 대해 한계를 지운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8
di33i55au35~31z\i31qha35di33
my.homeCOPrestPTCL
우리 집은 손님이 쉬는 곳이다.

3) 성질과 상태의 관계를 나타냄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계사절의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형용사로 충당되며 주어와 관련된 상황을 설명한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8
thuN31tsɿ35au31ten31ɬei33gi33di33
TongZhiCOPheartgoodPTCL
Tongzhi는 마음씨가 좋다.

4) 해석 및 설명을 나타냄

목적어는 주어의 어떤 면에 대해 설명을 한다. 주어와 목적어는 대응되지 않는다.

judu1234 kangzhongde2011:248
den31ɬei33mi~35ha31sɿ35ma33plan31wo33
heart3SGstillCOPNEGdieNEG.PTCL
그의 마음은 여전히 죽지 않았다.

명사절

거라오어에서 흔하지는 않다. 계사 ‘au31(是)’가 없이 명사가 서술어를 담당하는 절을 가리킨다.

S→NP1+NP2

judu1234 kangzhongde2011:246
Ne31lo35wuN31s\in33ts\hi33
tomorrowSundayday.of.the.week
내일은 일요일이다.
doc/gelao/4_ss/43_ctype/ctype_co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0/15 15:07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