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절은 계사 ‘au31(是)’이 술어인 절로 주어에 대해 정의, 분류 또는 설명을 한다. 거라오어의 계사절은 기본 형식이 중국어의 계사절과 동일하다. 모두 ‘주어+계사+계사의 목적어(表语)’ 즉, 'S→NP1+V+NP2'의 형식이다.
Ne35laN33 | ts\i33ts\o31 | n\i35 | au31 | l@u31san35 |
place | 2PL | this | COP | Judu |
계사절에서 만약 부정을 나타내려고 하면 내부 굴절 방식을 채택한다. 계사의 변조로 부정을 나타내는데 상세한 것은 “부정” 부분을 참고.
1) 동일한 관계를 나타냄
주어와 목적어가 가리키는 것이 동일한 사물이다. 이들은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위치가 바뀌어도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2) 정의관계를 나타냄
목적어가 주어에 대해 한계를 지운다.
3) 성질과 상태의 관계를 나타냄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계사절의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형용사로 충당되며 주어와 관련된 상황을 설명한다.
thuN31tsɿ35 | au31 | ten31ɬei33 | gi33 | di33 |
TongZhi | COP | heart | good | PTCL |
4) 해석 및 설명을 나타냄
목적어는 주어의 어떤 면에 대해 설명을 한다. 주어와 목적어는 대응되지 않는다.
den31ɬei33 | mi~35 | ha31 | sɿ35 | ma33 | plan31 | wo33 |
heart | 3SG | still | COP | NEG | die | NEG.PTCL |
거라오어에서 흔하지는 않다. 계사 ‘au31(是)’가 없이 명사가 서술어를 담당하는 절을 가리킨다.
S→NP1+NP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