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문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화를 받는 사람은 이에 대해 긍정 혹은 부정으로 대답한다. 문말의 어기는 일반적으로 상승조를 사용한다.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알고자 하는 부분을 묻는 의문문으로 상용되는 의문대사로는 ‘kan35na33', 'vu31ts\i33' 등이 있다.
두 종류 혹은 여러 종류를 제기하고 대화를 받는 사람이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기를 원하는 의문문이다. 이러한 선택의문문은 일반적으로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절이 출현하고, 절 중에서는 일반적으로 어기사 'maŋ33'을 사용하여 휴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뒤에 부사 'ha31sɿ35'를 써서 선택문을 이끈다.
s\in33 | ts\i31 | laM33bM33 | maN33 | ha31sɿ35 | s\in33 | ts\i31 | V33s\oN33 |
in.advance | wear | clothes | Q | or | in.advance | wear | pants |
지눠어의 정반의문문은 서술어의 고정형식에 따라 두 가지 형식으로 나뉜다.
동사와 부정부사로 형성된 형식은 ‘V+ma33+V’이다.
동사의 성조 변화로 구성된 긍정+부정 형식으로 의문을 나타낸다.
dz\au33 | n\i35 | lan31 | dz\au33 | bM35 | dzuN31 | lan33? |
CL | this | exist | CL | that | big | N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