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gelao:4_ss:51_neg:51_neg

51_neg : 부정 (negation)

  • 거라오어의 부정표현은 매우 특색이 있는 문형 중에 하나로 다양한 형식과 방식이 있다.
  • 거라오어의 부정표현에는 ‘부정부사’와 ‘부정의미를 가진 동사’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후자의 경우 ‘부정성의 조동사와 일반동사’가 있으며, 이들은 성조 변화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다. 즉, 거라오어는 성조변화로 부정을 나타내는 특수한 통사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그 방식은 술어동사의 내림조 31조이 수평조 33조으로 바뀌며 부정을 나타낸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1) 부정 부사 : [ma33], [qa33]

부정 부사로는 ma33(不), qa33(没,不)가 있다. 동사 앞에 부정 부사를 추가하여 행위나 심리 활동에 대한 부정을 나타낼 수 있다.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32
i55ma33ka31?u33m_031wo33
1SGNEGeatmeat.pigNEG.PTCL
나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2) 동사의 성조변화로 부정표현

1) 부정성의 조동사

han33(别,不能,不该)

tshuŋ33(不能)

ɡen33(不敢)

luŋ33(不会)

han33 ~ 하지 마라(부정명령)

judu1234 kangzhongde2011:232
mEM31han33kuaN33ka31E35tai33s\e33
2SGNEGonlyeatvegetableDEC
너 채소만 먹고 그러지 마. (다른 것도 먹어라.)

2) 부정성의 일반동사

aN33(没有)

au33(不是)

luN33(不会)

lan33(不及)

judu1234 kangzhongde2011:233
a35bM35au33nz\i31wo33
PTCLthatNEGcowNEG.PTCL
저것은 소가 아니다.

동사 au31는 경우에 따라 중첩할 수 있는데, 만약 부정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뒤에 au31을 성조 변화하여 부정 형식 au31로 나타낸다. 앞의 것은 원래 의미를 나타내고 전체 문장은 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27
dM35nz\i33bM35au31au33di33i55di33wo33
CLbambooshootthatCOPNEGCONN1SGCONNNEG.PTCL
저 죽순은 내 것이 아니다.

한어에서 차용된 sɿ35au31가 함께 쓰일 때, sɿ35가 어디에 쓰이는 간에 au31의 변조로 부정을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33
mi~35au33sɿ35qa33sEM31wo33
3SGNEGCOPNEGknowNEG.PTCL
그는 모르는 것이 아니다.

(3) 문말부정조사 : [wo33]

부정사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문말부정조사 wo33와 공기하여 쓰인다. 만약에 문장에 두 개의 부정사가 있으면 문말부정조사 wo33는 한번만 쓰이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앞에 쓰인 부정사와의 공기성분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judu1234 kangzhongde2011:234
do33?o33ne35qa33sEM31mi~35aN31bja35dzen31aN33wo33
otherpeopleFPNEGknow3.SGhavemoneyNEGNEG.PTCL
다른 사람들은 그가 돈이 있는지 없는지 모른다.

(4) 부정형식

부정형식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부정사로 만들어진 부정문이 있으며, 이 경우에 일부는 문말부정조사 wo33와 공기하여 쓰인다. 또 다른 형식으로는 ‘긍정+부정’의 방식으로 부정을 나타낸다.

judu1234 kangzhongde2011:235
mEM31dz\au31ma33dz\au31mi~35?
2SGloveNEGlove3SG
너는 그를 사랑하니?
doc/gelao/4_ss/51_neg/51_neg.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19:30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