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 부사로는 ma33(不), qa33(没,不)가 있다. 동사 앞에 부정 부사를 추가하여 행위나 심리 활동에 대한 부정을 나타낼 수 있다.예문은 다음과 같다.
han33(别,不能,不该)
tshuŋ33(不能)
ɡen33(不敢)
luŋ33(不会)
han33 ~ 하지 마라(부정명령)
| mEM31 | han33 | kuaN33 | ka31 | E35tai33 | s\e33 |
| 2SG | NEG | only | eat | vegetable | DEC |
aN33(没有)
au33(不是)
luN33(不会)
lan33(不及)
동사 au31는 경우에 따라 중첩할 수 있는데, 만약 부정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뒤에 au31을 성조 변화하여 부정 형식 au31로 나타낸다. 앞의 것은 원래 의미를 나타내고 전체 문장은 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dM35 | nz\i33 | bM35 | au31 | au33 | di33 | i55 | di33 | wo33 |
| CL | bambooshoot | that | COP | NEG | CONN | 1SG | CONN | NEG.PTCL |
한어에서 차용된 sɿ35와 au31가 함께 쓰일 때, sɿ35가 어디에 쓰이는 간에 au31의 변조로 부정을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부정사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문말부정조사 wo33와 공기하여 쓰인다. 만약에 문장에 두 개의 부정사가 있으면 문말부정조사 wo33는 한번만 쓰이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앞에 쓰인 부정사와의 공기성분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do33 | ?o33 | ne35 | qa33 | sEM31 | mi~35 | aN31 | bja35dzen31 | aN33 | wo33 |
| other | people | FP | NEG | know | 3.SG | have | money | NEG | NEG.PTCL |
부정형식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부정사로 만들어진 부정문이 있으며, 이 경우에 일부는 문말부정조사 wo33와 공기하여 쓰인다. 또 다른 형식으로는 ‘긍정+부정’의 방식으로 부정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