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gelao: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합성어

합성어는 형태소의 성질에 따라 형태 조어법과 통사 조어법으로 나뉜다

형태조어법

  • 형태조어법은 규칙에따라 어근에 접두사를 더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방법이다.
  • 파생법’ 이라고도 한다. 거라오어의 파생 조어법에서 접두사는 문법적인 의미만을 나타내며 대부분의 단어가 접두사 없이 단독으로 단어를 구성할 수 없다.

1. 접두사+어근

(1)qV31

gela1265 kangzhongde2011:120
qv31tsei31아래

(2)ma33

gela1265 kangzhongde2011:120
ma33la35tsau33

(3)lV31

gela1265 kangzhongde2011:120
lV31plM35뛰다

(4)vu31

gela1265 kangzhongde2011:120
vu31ts\i33무엇

(5)dM35

gela1265 kangzhongde2011:120
dM35jaM33남동생

(6)da35

gela1265 kangzhongde2011:120
da35la35어린이
gela1265 kangzhongde2011:120
명사로만사용가능한접두사
[ma33][dM35][da35]
gela1265 kangzhongde2011:120
명사,동사에사용가능한접두사
[qV31][lV35][vu31]

2.접두사+접두사+어근 ma33lV31waN31 배(과일) ma33lV33mi33 아내

맨 앞 접두사는 생략해도 의미 변화가 없다.

3.접두사의 특징 (1)접두사로 인해 뜻이 구별되는 경우 vu31suN31신체 qV31suN31머리카락

(2)생략 불가능한 접두사 ma35plaN31 복숭아 dM35dzaN31 용 (二) 통사조어법

거라오어의 복합 조어법은 어근과 어근 내부의 통사구조관계에 따라 진술, 수식, 병렬, 보충, 중첩, 배치 의 6가지로 나뉜다.

1.진술

앞 형태소가 진술의 대상이고 뒤 형태소가 앞 형태소의 진술을 진행한다. 주어와 술어의 관계이다.

vei31lui33 토끼 귀 길다 plM31tsๅ35주정뱅이 술 취하다

2.배치

앞 형태소가 동작, 행위를 나타내고 뒤 형태소가 동작행위를 하는 대상이다. 술어와 목적어 관계이다.

ka31mi35 정오 먹다 아침

doc/gelao/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146658233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6/22 16:58 저자 김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