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어는 형태소의 성질에 따라 형태 조어법과 통사 조어법으로 나뉜다
1. 접두사+어근
(1)qV31
(2)ma33
(3)lV31
(4)vu31
(5)dM35
(6)da35
2.접두사+접두사+어근
맨 앞 접두사는 생략해도 의미 변화가 없다.
3.접두사의 특징
(1)접두사로 인해 뜻이 구별되는 경우
(2)생략 불가능한 접두사
거라오어의 복합 조어법은 어근과 어근 내부의 통사구조관계에 따라 진술, 수식, 병렬, 보충, 중첩, 배치 의 6가지로 나뉜다.
앞 형태소가 진술의 대상이고 뒤 형태소가 앞 형태소의 진술을 진행한다. 주어와 술어의 관계이다.
앞 형태소가 동작, 행위를 나타내고 뒤 형태소가 동작행위를 하는 대상이다. 술어와 목적어 관계이다.